logo
“AI비서가 금융 현장에”…NH농협은행, 생성형 AI플랫폼 도입 주목
IT/바이오

“AI비서가 금융 현장에”…NH농협은행, 생성형 AI플랫폼 도입 주목

김소연 기자
입력

생성형 AI 기술이 금융 산업의 업무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NH농협은행은 7일 금융업무에 특화된 생성형 AI플랫폼의 본격 가동을 알리고, 현장 중심의 실질적 AI 활용 사례를 제시했다. 이번 플랫폼은 LG CNS와 협업해 개발되었으며, 단순 상담을 넘어 내부 규정 검색, 맞춤형 상담, 기업금융 추천 등 보다 실무적인 기능까지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행보가 금융권 AI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의 생성형 AI플랫폼은 ‘지식 정보 검색 에이전트’, ‘리테일 영업지원 기능’, ‘기업금융 맞춤추천’, ‘디지털 어시스턴트’ 등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우선으로 설계됐다. 예를 들어, ‘지식 정보 검색 에이전트’는 수시로 변하는 금융상품 정보와 실무 규정을 실시간으로 분석·제공한다. 리테일 영업지원과 기업금융 추천 기능은 대면 창구나 콜센터에서 고객 특성에 맞는 상담 화법과 정책자금 추천 서비스를 구현한다. 기존 금융 AI 솔루션 대비, 규제 및 상품 데이터와의 연동 범위와 실제 현장 적용성에서 두드러진 차별성이 있다는 평가다.

생성형 AI는 사용자의 질의 의도·맥락을 이해하고 자연어 기반 답변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NH농협은행이 구축한 시스템은 범용 AI 대비 금융 데이터 특화 학습, 최신 상품·규정 자동 반영 등 내재적 정확도를 끌어올렸다. NH농협은행 관계자는 “‘AI가 동료처럼 업무를 지원한다’는 실감이 날 수 있도록 설계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AI플랫폼은 영업창구, 고객상담, 대출·기업금융 등 업무 영역 확장과 동시에, 중복 업무 감소, 업무 정확도 향상에 실효성을 갖는다. 금융 소비자 입장에서도 맞춤형 정보와 신속한 상담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실제로 글로벌 주요 은행들 역시 생성형 AI의 업무 실전 배치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 일본 등지에서는 단순 상담을 넘어 상품 추천과 신용분석까지 AI가 직접 관여하는 사례가 확산 중이다.

 

NH농협은행은 앞으로도 AI가 직접 과업을 계획·수행하는 ‘에이전트 기술’을 고도화해, 업무 자동화 수준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또 축적된 AI 데이터와 사례를 농협금융그룹 전체로 확장 적용하며, 그룹 내 디지털 혁신의 중심축이 될 전략이다.

 

업계는 이번 생성형 AI플랫폼이 실제 현장의 생산성을 변화시키는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와 금융 현장 융합은 장기적으로 금융 산업 구조 전환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며, “기술 상용화와 직원·고객 체감이 향후 확산의 핵심 변수”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nh농협은행#생성형ai#lg c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