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발전·공정경제로 대한민국 체질 바꿀 때”…이재명, 충청 타운홀서 정책 의지 재확인
정치적 균형발전 논쟁이 이재명 대통령과 충청권 주민들이 직접 마주한 타운홀 미팅에서 정점으로 치달았다. 수도권 집중과 지역 차별 문제를 놓고 국가 리더와 지역 사회가 정면에서 시선을 맞댄 것이다. 충남·대전·세종 등 민심이 뜨겁게 표출되는 자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제 대한민국 체질을 균형발전·공정경제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7월 4일 오후 2시 30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충청 타운홀 미팅’을 직접 주재했다. 현장에는 충청권 주민, 소상공인, 전문가 등 각계 인사가 참여해 지역경제 미래와 생활 현안, 불공정 구조 문제 등 실질적인 질문을 쏟아냈다. 이 대통령은 대기업 중심 구조의 부작용과 지역 소외 현실을 지적하며 “실력 있는 작은 기업은 반드시 성장할 수 있어야 하고, 대기업이라 해도 부실하면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퇴출돼야 하는 건강한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수도권 쏠림에 따른 지방 위기론까지 언급하면서, “서울로의 과도한 집중 때문에 지역이 생존의 위기에 놓였다는 말이 나오는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첨단산업 육성과 R&D 투자, 인재 양성 등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과 함께 “대전을 과학 중심 도시로 키우고, 국가 차원의 강력한 의지를 실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지역화폐 정책에 대한 지방 민심도 직접 청취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으로 4년 11개월간 법 제정이 없어도 지역화폐 사업을 멈추지 않겠다”고 확답하면서, 지원 확대·할인율 강화 등 세부 정책 방향까지 안내했다. 참석한 주민과 소상공인들은 관련 제도 정착에 큰 기대감을 표출했다.
한편 이날 대전컨벤션센터 주변에서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정책을 둘러싼 충청권 의원 및 단체장들의 반발 시위가 잇따랐다. 참여자들은 “행정수도 완성과 어긋나는 결정”이라며 이전 계획의 신중한 재검토와 공론화를 촉구했다. 중앙정부 정책과 지역 이익 간 충돌 지점이 현장에서 다시 한 번 부각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토론에서 불공정 경제구조, 채무 연체자 구제, 국가 정책의 지역안배 등 여러 세부 현안에도 적극 목소리를 냈다. “정치는 국민 삶을 더 낫게 만드는 서비스”라며 국민참여 기반 정책행보를 거듭 천명했다.
균형발전론과 공정 사회, 지역화폐 활성화 등 충청 타운홀 미팅에서 논의된 의제들은 향후 정부 정책 결정 및 지방선거, 정당 지지율 변화에 직접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역 중심 국가로의 방향 전환과 첨단산업 생태계 강화가 정치권의 주요 과제로 부상한 분위기다.
정치권은 이날 충청 타운홀 미팅을 계기로, 수도권 중심 일극 체제와 지방 소외 문제를 놓고 더욱 치열한 논쟁에 돌입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