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추도식 불참”…강유정 대변인, 한일관계 과제 강조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의 현장인 사도광산을 둘러싸고 한일 양국 정부가 다시 마주섰다. 대통령실은 9월 4일, 정부가 올해 사도광산 추도식에 작년에 이어 불참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좋아진 한일관계에서도 좀 더 들여다보거나 더 노력할 부분이 서로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일관계 개선 흐름 속에서도 과거사 현안에선 여전히 깊은 이견이 드러난 셈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공식 브리핑에서 “이번 한일정상회담을 통해 한일 관계가 진일보했음을 확인했고,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를 보는 쪽으로 합의했다”고 전제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강제성’이란 용어는 15년 전만 해도 일본이 인정하기도 했던 표현”이라며 일본 내 자성의 부족함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여전히 가까우면서도 복잡다단한 양국 관계 속에서 아쉬운 점이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의 불참 결정은 일본이 추도사 등에서 조선인 노동자 동원의 ‘강제성’에 대해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대통령실 측은 “일본 역시 국내 정치 상황이 외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수위 조절의 어려움도 드러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안에 대해 한일관계의 지속적인 진전을 바라면서도, 과거사 문제 해소 없이는 신뢰 구축이 쉽지 않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외교 전문가들 또한 “공식석상에서 ‘강제성’ 인정을 명확히 하지 않는 한 과거사 갈등은 반복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일 양국 정부는 올해에도 사도광산 추도식 참석 여부를 두고 민감한 외교적 셈법에 빠진 모습이다. 정치권은 이번 불참 결정이 중장기적 한일관계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추후 일본 측 태도 변화와 국제사회의 움직임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