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 의약품 관세유예 시사”…제약업계 안도감 확산
IT/바이오

“미국 의약품 관세유예 시사”…제약업계 안도감 확산

이준서 기자
입력

미국에서 의약품 수입 관세 도입이 예고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1년 6개월 유예’ 가능성을 직접 시사하면서 제약업계가 한숨을 돌리고 있다. 그동안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일시에 관세가 시행될 경우 생산기지의 신속한 이전과 비용 상승 등에 대한 우려가 컸으나, 업계는 유예기간 명시가 실제적 부담을 완화할 것으로 평가한다. 전문가들은 의약품 제조공장의 미국 내 이동이 단기에 이뤄지기 어렵고, 현지 기업의 반발을 고려할 때 트럼프의 행보가 현실 인식을 반영했다고 해석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 시간) “최대 1년 6개월의 준비 시간을 주고 그 이후엔 20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적용할 방침”이라며 처음으로 유예기간을 언급했다. 약가 인상 압력, 공급망 혼란 등 파장이 우려되는 가운데, 업계와 전문가들은 200%라는 수치 자체는 현실적으로 시행이 불가능하며, 리쇼어링(생산기지 국내 이전) 촉진을 위한 경고성 메시지로 보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는 트럼프가 관세 적용의 시간적 조건과 업종별 파급효과를 고심한 흔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실제 셀트리온 등 국내 수출기업은 “미국 현지 관세 정책이 어떤 방식으로 도입되더라도 2025년까지 무리 없이 대응할 방침”이라며, 단기적 재고 확보, 현지 위탁생산(CMO) 파트너십 체결, 장기적으로 미국 생산시설 인수 검토까지 전방위 전략을 선제 구축 중이라고 강조했다. 의약품의 미국 내 수입 규모가 글로벌 5위에 이르는 상황에서, 200% 고율 관세 단행이 약가 급등과 환자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을 업계 전체가 경계하고 있다.

 

미국 제약업계 또한 관세가 실질적 비용 부담, 투자 위축, 공급망 교란의 악순환을 초래한다고 일관되게 반발 중이다. 향후 미국 대선정국과 규제기관의 세부 정책안에 따라 실제 관세율·적용 대상·유예기간 등이 판가름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현 단계에선 “리쇼어링 효과 극대화를 노린 정치적 시그널”에 가깝다며, 글로벌 제약사 모두 리스크 분산 및 현지화 전략 정비에 나설 개연성이 높다고 강조한다.

 

국제 무역 환경 불확실성 확대 속에서, 기술 경쟁력뿐 아니라 정책 이슈에 대한 민첩한 전략 수립이 제약바이오 기업의 새로운 생존 조건으로 자리잡는 양상이다. 산업계는 이번 관세 이슈가 실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준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의약품관세#셀트리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