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분획 감마나이프, 대형 뇌전이암 1차 치료 입증”…서울대병원 연구 파장 주목
IT/바이오

“분획 감마나이프, 대형 뇌전이암 1차 치료 입증”…서울대병원 연구 파장 주목

박진우 기자
입력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대형 뇌전이암 환자를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1차 치료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명호성 교수팀은 10㎤ 이상의 대형 뇌전이암 진단 후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받은 93명을 대상으로 효과와 안전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 종양의 부피를 9개월 만에 평균 80%까지 줄이고 환자 87%에서 신경학적 증상을 안정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방사선을 소량씩 나눠 여러 번 조사하는 분획 방식은 기존 고용량 일회 조사보다 부작용 위험이 낮고, 대형 종양에도 적용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대형 뇌전이암은 기존에 개두술, 즉 외과적 절제가 치료의 1차 선택지였으나, 고령이거나 기저질환 등으로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대안이 시급했다. 분획 감마나이프 수술은 종양에만 고정밀 감마선을 반복적으로 집중 조사해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종양 성장을 억제한다. 특히 이번 연구는 종양 10개 중 8개에서 부피가 절반 이하로 감소했고, 최대 감소는 중앙값 3.3개월 만에 실현됐다. 무진행 생존기간(재발·전이 없는 기간)은 중앙값 8.2개월, 전체 생존기간은 15.2개월로 기존 개두술 보고치(8~18개월)와 유사해 치료 대체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시장성과 실효성 측면에서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은 개두술 합병증 걱정이 큰 환자에게 실질적 치료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환자 체감도가 높다. 또한 종양 부종까지 포함해 뇌압·신경계 증상까지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한편 미국·유럽 등 선진 의료현장에서도 감마나이프 기반 분획 방사선 수술이 점차 도입되고 있으나, 대형 뇌전이암 1차 치료 효과를 입증한 체계적 분석은 드물다. 이번 서울대병원 연구는 국제적 치료 가이드라인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평가다.

 

국내의 경우 관련 방사선 기기·수술 적용에 대한 의료정책, 보험 인정 범위가 제한적으로 운영돼 신의료기술 평가 및 급여 확대 논의가 요구된다. 수술 후 방사선 괴사 등 부작용은 드물게(5.4%) 나타났으나 모두 입원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경미했다.

 

백선하 교수는 “대형 뇌전이암 환자에게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안전하고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1차 치료법임이 확인됐다”며 “외과적 절제에 준하거나 일부 환자에서는 이를 대체할 치료 선택지로 권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임상 표준치료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울대병원#분획감마나이프#뇌전이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