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실증밸리 본격 추진”…광주, 2단계 면제 확정에 투자 확대
IT/바이오

“AI 실증밸리 본격 추진”…광주, 2단계 면제 확정에 투자 확대

이예림 기자
입력

광주시가 추진하는 대규모 인공지능(AI) 2단계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조성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를 최종 확정받았다. 이번 결정으로 광주 AI 산업의 전환점이 마련되면서, 모빌리티·에너지 등 전략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2026년부터 5년간 6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산업계는 대규모 투자로 인한 생산·고용·부가가치 유발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예타 면제가 향후 지역 AI 집적단지 경쟁의 본격화 신호로 보고 있다.

 

광주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 총괄위원회 심의를 통해 AX 실증밸리 조성사업의 예타 면제를 확정했다. 이 사업은 지난 18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거쳐 본격 추진된다. 2단계 사업은 지난 5년간 진행된 1단계(4300억원 규모 인프라·센터 구축)에 이어, 모빌리티와 에너지 등 지역 핵심 산업의 AI 기반 전환(AX), 시민 체감형 도시·생활혁신, AX 핵심 인프라 조성 등 3대 분야에 투자가 집중될 예정이다.

핵심 기술 및 구현 방식 측면에서 이번 2단계 사업은 자율주행, 스마트에너지 관리 등 기존 인프라에 AI 모델과 데이터를 결합해 실생활에서 검증·적용할 수 있는 ‘실증 중심’의 구조가 특징이다. 광주시는 AI 상용화 전주기 컨트롤타워인 ‘AI 이노스페이스’ 조성과, 첨단3지구 AI지식산업센터 건립 등 인프라 확장에 집중한다. 시민이 실시간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3375개 공공시설을 AX 실증랩으로 개방하고, 48개 혁신기관이 보유한 3879종 연구장비를 기업에 연계해 실증 성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시장성과 활용 맥락에서는 1000개 AI 융복합기업의 집적을 목표로, 모빌리티와 에너지 등 지역 전략산업의 AI 전환을 실질적으로 견인한다는 전략이다. 일상 공간의 도시문제를 AI로 해결하는 ‘시민 체감형’ 실증 서비스 모델 확장도 추진한다. 실증랩 개방과 장비 지원은 중소기업·스타트업의 접근성을 크게 높여, 초기 실증 부담을 낮출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비교에서 볼 때, AI 집적단지와 실증도시 추진은 미국·유럽 주요 도시에서도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싱가포르·암스테르담 등 해외 주요 거점은 데이터·실증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도시가치와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광주 역시 AI 이노스페이스 등 컨트롤타워 전략으로 글로벌 흐름에 대응할 예정이다.

 

정책·규제 환경에서는 AX 실증밸리와 연계한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지정, AI 규제자유특구 추진,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등 후속 작업도 진행된다. 신속한 실증과 상용화를 위한 규제 샌드박스 도입, 윤리·보안 이슈에 대한 대응 역시 병행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2단계 사업의 본격화로 광주가 AI 산업 경쟁의 핵심 무대로 재부상하고 있다”며 “투자 효과와 실증 모델 확산이 실제 지역경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2단계 실증 사업이 AI 분야 지역 경쟁 구도를 바꿀 것으로 보고, 국가 지원과 실제 상용화 속도가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AI와 산업전환, 규제와 거버넌스 간 균형이 새로운 성장의 조건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시#ax실증밸리#ai이노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