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개발자 노동환경 개선 논의”…문체부, 노조와 정책 대화 가속
국내 게임산업의 근로환경 개선 이슈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김영수 제1차관은 6일 콘텐츠코리아랩에서 넷마블, 스마일게이트, 엔씨소프트, NHN, 카카오 등 주요 게임사 노조와 민주노총 산하 IT위원회 관계자들과 만나 ‘주 52시간제’ 등 노동환경 현안을 다뤘다. 업계 안팎에서는 게임산업 특유의 빠른 기획·개발 문화와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양적 노동시간 투입보다는 창의성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근로문화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현행 주 52시간제, 즉 주당 최대 52시간 근로를 제한하는 제도와 관련해서도, 참석 노조 측은 업종 특성에 맞춘 유연근로제 활용이 이미 충분히 자리잡았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현장의 과도한 단기 성과 압력보다, 개발자들이 본연의 ‘재미’와 ‘창의성’에 집중할 수 있을 때 글로벌 경쟁력도 높아진다는 분석을 내놨다. 실제로 글로벌 게임사 다수는 근로자 자율성과 팀워크 기반의 수평적 조직문화를 강화해 혁신성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현장의 요구는 단순히 노동시간 단축만이 아니라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실험적 신작 개발을 지원하는 제도적 뒷받침이라는 데 있다. 특히 자유로운 의사소통, 투명한 평가체계 등 질적 근무환경이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 일본 등 해외 게임업계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이어지며, 노동환경 개선이 인재 확보와 수출 확대의 필수 요소로 꼽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근로형태 유연화와 창의성 보장, 그리고 공정한 업무분장과 휴식제도 등 병행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 산업이자 창의성이 핵심인 게임산업의 특수성을 정책 수립에 반영하겠다”고 밝혀, 향후 맞춤형 정책 변화가 주목되고 있다.
게임산업계는 논의된 내용이 실제 정책과 현장 변화로 이어질지, 근로자 권익 보장과 산업 혁신을 모두 아우를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