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대화, 트럼프 리더십에 돌파구 기대”…조현 장관, 한미동맹·핵 해법 강조
북미 비핵화 해법을 둘러싼 외교전이 한층 치열해진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이 북미 간 협상의 돌파구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리더십에서 기대한다고 밝혔다. 14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내신 기자간담회에서 조 장관은 ‘현재 북미 대화 진행 상황’을 묻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이 새로운 돌파구를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은 한미 정상회담과 동맹 현대화 논의가 임박한 가운데 나와, 외교 현안에 대한 정부의 입장과 전략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현 장관은 “미국은 북한이 핵을 보유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밝히면서, 북미 핵 협상과 관련해 “여러 가지 밀당이 필요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이로써 북미 양측이 핵보유국 인정 여부를 놓고 사전 물밑 협상을 이어가는 것으로 해석됐다. 한 고위 외교부 관계자 역시 “북미 대화는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할 수도 없고,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며 군축 협상으로 나가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협상 개시를 위한 접점을 찾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관계와 관련해서는, 조 장관은 다가오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동맹 현대화,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기술 협력이 핵심 의제로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원자력, 조선, 인공지능, 퀀텀, 바이오 등 첨단 기술 동맹으로 한미 관계를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한미군 현안에 대해선 최근 브런슨 사령관이 “중요한 건 숫자가 아니라 역량”이라고 밝힌 데 대해, 정부 관계자는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 언급은 사령관 개인 의견이며 정부는 크게 주목하지 않는다”며 “기술이 발전하면 감축 논의가 나올 순 있으나, 현재로선 협력 강화를 우선시한다”고 했다. 주한미군 문제로 한미 정상회담이 미국 주도 논의로 흐를 것이라는 우려에는 “일방적으로 미국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아니며, 북·중·러 안보 도전 속에 협력을 통해 국방력을 발전시킬 적기”라고 해명했다.
한일 관계 개선 움직임도 부각됐다. 조현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방문에 앞서 일본을 먼저 찾은 것과 관련해 “실사구시·실용외교 기조가 드러난 것”이라고 했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도 “일부 이재명 정부에 남아있던 반일 프레임이나 낙인이 이번 방문을 계기로 해소될 것”이라 진단했다. 조 장관은 스스로 일본을 거쳐 워싱턴을 방문한 배경에 대해 “우리와 입지가 유사한 일본과 먼저 협의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한중 관계에 대해서도 조 장관은 “근본 차이가 있지만, 실용적으로 접근해 일정 부분 협력과 관여를 이어가야 한다”며 “한중 관계 관리에도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주말에는 인도 방문을 추진해 외교 다변화의 디딤돌을 놓겠다”고 덧붙였다.
정치권과 외교가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한미동맹 현대화 구상이 구체화될지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관련 논의를 토대로 향후 북미 협상, 한중·한일 관계 등 동북아 정세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며 외교적 해법을 모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