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장사 전면 의무화”…금융위, 지배구조보고서 공시 확대 결정
코스피 상장사 전체가 내년부터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의무 공시 대상에 포함되면서 경영 투명성과 투자자 신뢰 제고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상장사들의 지속가능 경영과 지배구조 개선 움직임에 촉진제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의 추가 가이드라인 준비에도 관심이 쏠린다.
9일 금융위원회는 제13차 금융위원회 회의에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공시 규정' 일부 개정안을 의결하고, 기업지배구조보고서의 의무 공시 대상을 내년부터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제도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경영 투명성과 이사회 구성, 책임 경영 등 지배구조 핵심 원칙 이행 실적을 공개하고, 미준수 시 그 사유를 설명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간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제출은 2017년 자율공시 형태로 도입된 이래 5,000억 원 이상 자산 보유 코스피 상장사를 중심으로 단계적 의무화가 진행돼 왔다. 이번 확대조치에 따라 내년부터는 코스피 상장사 전체가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시장에서는 공시대상 확대가 ESG경영 확산과 지속가능 투자 확대 등 시장 신뢰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일부 중소형 상장사들의 준비 부담 등 현장 혼선 우려도 제기된다.
홍기훈 홍익대 교수는 “정기적인 지배구조 정보 공개는 투자자 보호와 기업가치 제고 측면에서 필수적”이라며 “제도 시행 초기에는 상장사의 실효적 이행과 형식적 공개 간 격차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과 함께 현장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며, 관련 법령 개정 내용도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가이드라인’ 및 점검 기준 등에 반영해 상장사들이 제도를 원활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자본시장에서는 지난 수년간 단계적 확대가 추진돼 온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제도가 내년 전면 의무화로 전환되면서, 국내 상장사들의 지배구조 투명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과 투자자들은 앞으로 정부의 세부 시행 방안과 현장 정착 과정, 그리고 국제 기준과의 정합성 여부에 지속적 관심을 보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