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정보 오기 논란”…구글, 독도박물관 표기 즉각 정정한 배경
구글의 지도 서비스가 국내 사회적 민감 이슈에서 또다시 신뢰성 논란에 휘말렸다. 경북 울릉군 독도박물관이 구글 지도 상에서 ‘김일성 기념관(별관)’으로 기재된 사실이 알려지자, 정부는 즉각 시정 조치를 요청했고 구글은 몇 시간 만에 표기를 수정했다. 그러나 일부 장소 정보의 오류는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어, 글로벌 플랫폼의 지도 정보 관리 체계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고 있다. 업계는 최근 문제가 지도 데이터의 국외 반출, 국내 데이터센터 설치 등 한일 갈등 요소가 뒤얽힌 민감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단순 표기 오류 이상의 상징성을 갖는다고 분석한다.
정부는 국무총리 지시로 교육부, 외교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를 통해 구글에 강력한 유감 표명을 전달하고 향후 동일 사례 재발 방지 대책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구글 측은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정책을 악용한 사례로 확인됐다”며 “위반 콘텐츠에 즉각 조치했고 유사 사건 방지를 위해 대정부 협업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실제 구글 지도는 다수 사용자의 제안이 누적될 경우 해당 장소의 이름이 쉽게 변경될 수 있는 구조다. 이번 건 역시 UGC 정책의 취약점이 드러난 사례로, 업계는 국내 주요 장소 정보가 이용자 임의로 왜곡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우려한다.

특히, 구글이 국외 반출을 신청한 국내 정밀지도 데이터와 관련해 정부가 데이터센터 설치를 조건으로 제시한 상황에서, 지도 정보 통제권 논란이 재점화됐다. 구글은 핫라인 구축·임원 지정 등 해결책을 내놨으나, 여전히 정부가 관리 권한을 갖지 않는 한 실질적 통제가 어렵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지도정보 오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구글 지도에서 ‘독도 공항’을 검색하면 일본 쓰시마(대마도) 공항으로 연결되는 문제가 작년 6월부터 해소되지 않아, 정보 신뢰성에 의문이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지도 서비스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장소정보(POI) 검증 프로세스의 자동화, 상시관리 시스템이 필수라고 지적한다. 국내 업체들은 이미 이런 점에서 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글로벌 플랫폼의 정책은 아직 미흡하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지도 데이터 관리 주체를 둘러싼 정책 논의와, 글로벌 서비스의 로컬 책임성 강화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민감 정보의 왜곡·훼손이 반복되는 한 글로벌 플랫폼의 신뢰도 확보가 어렵다”며 제도와 기술 상의 통합적 해법을 촉구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