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는 여전히 해결 안돼”…이재명 대통령, 광복 80주년 맞아 명예·존엄 회복 다짐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역사적 논란이 재점화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직접 메시지를 발표하며, 피해자 명예 회복과 진상 규명을 약속하고 나섰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가 발생한 지 수십 년이 지났지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한국 사회의 고착된 상처가 재차 부각되는 모양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이했지만 위안부 피해자들은 아직 자유와 평화를 누리지 못하고 계신다. 긴 세월이 흘렀음에도 위안부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역사의 진실이 바로 서지 않는 한 광복은 완전하지 않다”고 밝혔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 최초 증언자인 고 김학순 할머님을 언급했다. “34년 전 오늘은 고 김학순 할머님께서 오랜 침묵을 깨고 세상에 나와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증언해 주신 날”이라면서, “전시 성폭력 참상을 알린 고발을 넘어, 어떤 극한 상황에서도 인간의 존엄이 결코 훼손돼선 안 된다는 가장 근원적이고도 준엄한 호소였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할머님의 용기는 국내를 넘어 국제사회의 양심을 일깨웠고 연대의 물결을 만들어냈다”며, “진실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처럼,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어진 엄중한 책무”라며 국민적 기억과 책임 의식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끝으로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존엄이 온전히 회복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며, “인권이 상식이 되고 평화가 일상이 되는 나라, 정의가 살아 숨 쉬는 세상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해 여야가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여당은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외교적 대화를 통해 하루빨리 위안부 문제의 완전한 해결을 이루겠다”는 입장을 냈으며, 야권에서는 “피해자 인권과 역사 정의 실현을 위한 실질적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 역시 이재명 대통령이 피해자 중심의 기림정책을 천명한 것에 환영을 표했다.
이날 국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해결 촉구 결의안 논의를 이어갔으며,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바탕으로 역사 정의 실현에 더욱 힘을 실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