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대·우려 교차 속 숨 고르기”…뉴욕증시 혼조, 기술주 약세에 변동성 확대
국제

“기대·우려 교차 속 숨 고르기”…뉴욕증시 혼조, 기술주 약세에 변동성 확대

신채원 기자
입력

현지시각 22일, 미국(USA)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 심리에 관망세가 짙어진 가운데 주요지수는 상승과 하락을 오가는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24% 올랐으나,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 경신 이후 힘을 잃으며 각각 소폭 상승(0.03%)과 하락(0.14%)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장세는 실적 발표 주간에 대한 기대와 함께 미중 무역관세 여파, 인공지능(AI) 테마의 추세 변동 등 글로벌 시장의 복합적 변수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다.

 

투자자들은 23일 발표 예정인 알파벳과 테슬라 등 대표 기술주 기업의 분기 실적과 함께, AI 수요 및 기업 비용 구조, 미중 간 관세 이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S&P500 소속 88개 기업이 이미 실적을 공개해 82%가 시장 기대를 웃돌았지만, 시장은 수치보다 미래 전망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이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7’로 불리는 초대형 기술주가 이번 분기 내내 S&P500 실적 흐름을 주도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뉴욕증시 혼조…다우 0.24% 상승, 기술주 약세에 나스닥 0.14% 하락
뉴욕증시 혼조…다우 0.24% 상승, 기술주 약세에 나스닥 0.14% 하락

한편 업종별로는 헬스케어와 부동산, 유틸리티, 금융 등이 상승세를 보인 반면, 기술주 지수는 0.5% 하락해 AI 및 성장주에 대한 차익 실현 심리가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종목별로는 제너럴모터스(GM)가 2분기 실적 발표에서 기대치를 상회했음에도 전년 대비 이익 감소 및 관세 부담에 7% 가까이 급락했다. 록히드마틴 역시 2분기 매출 부진으로 7% 약세, 코카콜라 또한 글로벌 수요 위축 우려로 하락하며 주요 기업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국제 시장의 긴장감은 미중(USA-China) 무역협상 이슈로도 이어진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다음 주 중국 측과 무역 협상 시한 연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협상 불확실성을 시사했다. 실제 지난 분기 관세 인상 움직임 이후 양국 간 경제 마찰이 글로벌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유럽 증시도 동반 하락하며 ‘유로스톡스50’, ‘독일 DAX’, ‘프랑스 CAC40’이 각각 0.4~0.8% 하락했고, 영국 ‘FTSE’만이 소폭 상승했다. 국제 유가 역시 배럴당 66달러 선에서 1%대 약세를 보였다.

 

뉴욕타임스(NYT)와 CNBC 등 주요 외신들은 “주요 기업의 실적 호재가 이미 주가에 반영돼 실망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랠리 조정 가능성을 지적했다. 세테라인베스트먼트 진 골드만 최고투자책임자(CIO)도 “최근 랠리가 매우 빠르고 과열 신호를 보인다”며 2025년 실적 전망치 하향을 경고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와 미중 무역협상 향방에 시장 변동성이 한층 더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증시 흐름이 글로벌 금융 시장에 어떠한 변화를 예고할지 주요 투자자와 정책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뉴욕증시#기술주#미중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