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방해 사실과 달라”…김선규 전 공수처 검사, 채상병 특검 출석해 혐의 부인
채상병 사망 사건을 둘러싼 수사 방해 논란이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다. 2일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김선규 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부장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에 착수했다.
이날 오전 9시 41분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낸 김선규 전 부장검사는 언론의 질문에 “사실관계와 좀 다른 것 같다. 올라가서 설명드리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김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상반기 공수처장직을 대행하며 채상병 수사외압 사건의 수사를 방해한 혐의(직권남용)를 받고 있다.
특별검사팀에 따르면, 공수처 내부에서는 김 전 부장검사가 “4·10 총선 전까지 사건 관계자들을 소환하지 말라”는 취지로 지시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또 국회 본회의에서 채상병특검법 표결을 앞두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명분 조성 차원에서 수사 속도를 갑자기 높였다는 진술도 핵심 의혹으로 확인되고 있다.
김 전 부장검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인연으로 ‘친윤 검사’로 꼽혔다. 2013년 대검찰청이 당시 여주지청장이었던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중징계를 추진하자, 내부 게시판에 징계 철회를 요구하는 의견을 낸 바 있어 검사동료들 사이에서도 행보가 주목받았다.
특별검사팀은 김 전 부장검사가 총선을 앞두고 사건 수사를 지연 또는 조정한 배경, 그리고 여론을 염두에 둔 여부 등 핵심 사실관계를 집중적으로 따져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29일에는 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도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로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송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6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개인 휴대전화와 대통령실 내선번호에 대한 압수수색영장 청구가 사전에 막히도록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친윤 인사로 알려져 있어, 특검팀의 수사 방향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특별검사팀은 앞으로 김선규 전 부장검사 등 핵심 인사에 대한 추가 수사와 진술 확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정국은 채상병 사건 특검 수사를 둘러싼 여야 공방과 정치적 후폭풍으로 한층 격랑에 휩싸인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