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윤리 파괴자라 불릴 만”…국민의힘, 이진숙 부총리 후보자 사퇴 촉구
논문 중복 게재와 표절,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을 둘러싸고 국민의힘이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퇴진 압박을 강화했다. 교육 수장의 자격 논란이 정치권에서 격렬하게 확산되는 양상이다.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은 6일 논평을 내고 이진숙 후보자를 겨냥해 "연구 윤리 위반 의혹은 범죄 수준"이라며 “교육부 장관 후보자보다는 ‘연구 윤리 파괴자’라는 이름이 더 어울릴 정도”라고 직격했다. 이어 “보도에 따르면, 제자의 학위 논문을 표절한 것으로 의심되는 논문이 10개 이상이나 확인됐다”고 밝히며 "국회의 자료 제출 요구에 제대로 응하지 않고 인사청문 제도를 우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제자의 연구 성과를 가로채고 학계를 속인 사람이 교육의 백년대계를 책임져선 안 된다”며 “즉시 석고대죄하고 사퇴해야 한다”고 강경한 입장을 내놨다.
국민의힘 김희정 의원도 소셜미디어를 통해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김 의원은 “여러 의혹에 대해 ‘청문회에서 답하겠다’는 말은 사실상 입 다물겠다는 의미”라며 “해명할 자신 없으면 그 자리에 설 자격도 없다. 청문회는 면피용 시간이 아니라 책임질 사람, 떳떳한 사람만 나와야 한다”고 압박했다. 그는 또 "(국무총리) 김민석이 후보 시절 버티다 임명되니 나쁜 짓만 따라 배운 듯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논란은 이진숙 후보자가 2018년 충남대학교 교수 시절 실험설계와 결론이 유사한 논문 두 편을 서로 다른 학회지에 실은 사실에서 비롯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민전 의원실 등에 따르면, 두 논문은 후보자가 지도하던 대학원생이 같은 해 발표한 논문과도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이 불거졌다.
정치권의 사퇴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여당 내부에서도 자진 사퇴 목소리가 잇따르며 청문회 정국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국회 인사청문 과정에서 이진숙 후보자의 도덕성과 진정성 검증 공방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