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금값 570,488원 또 최고치 경신”…트럼프發 연준 압박·환율 하락에 안전자산 쏠림
경제

“금값 570,488원 또 최고치 경신”…트럼프發 연준 압박·환율 하락에 안전자산 쏠림

전민준 기자
입력

국내 금값이 연일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투자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금 1돈의 시세는 570,488원으로 전일 대비 4,613원(0.8%) 상승했다. 최근 글로벌 통화정책 불확실성과 지정학 리스크, 환율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안전자산으로서의 금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높아진 모습이다.

 

국제 금시세 역시 함께 뛰었다. 삼성금거래소 집계에 따르면 23일 금 1돈의 국제 시세는 살 때 414.02달러(570,809원), 팔 때 414.27달러(571,160원)로 각각 0.44달러(608원) 올랐다. 환율은 1,379원으로 2.8원 하락했다. 이는 미중 무역협상 연장 움직임과 미국 통상정책 변화로 달러 가치 하락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트럼프發 연준 압박에 금값 상승세 지속…환율·국제정세 복합 작용 (금값시세)
트럼프發 연준 압박에 금값 상승세 지속…환율·국제정세 복합 작용 (금값시세)

국내 금값은 7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15일 559,763원에서 23일 570,488원까지 일주일 새 1.9% 오르며, 7일 평균 대비 7,655원(1.4%), 30일 평균 대비 15,634원(2.8%)씩 추가로 올랐다. 유가증권시장과 비교해 하루 거래대금도 22일 기준 512억 원에 달했다. 전통적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가 유의미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시장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 결정적 변수로 부각됐다. 트럼프는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을 겨냥해 “금리가 지나치게 높으며 적정 수준은 1%”라며 8개월 내 해임 가능성을 언급했다. FOMC 블랙아웃 기간인 만큼 파월 의장의 입장이 공백인 상황에서 시장은 트럼프의 압박을 실제 정책 변화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 영향으로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기대가 확산됐고, 금 선물시장 역시 투자 매력이 높아지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의 무역정책도 무역협상 연장, 필리핀·인도네시아와의 관세 인하 등 유연한 방향 전환이 이어지며 글로벌 경기 불안 해소 심리가 이어졌다. 이에 원·달러 환율도 안정세를 보였다.

 

반면 금값은 지난해 최고가(613,238원)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1년 내 최저치(327,788원)와 비교해 242,700원(74.0%) 높아 단기와 중장기 모두에서 안전자산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값 상승이 단기 투기적 거래보다는 글로벌 통화정책 불확실성, 정치 리스크, 안전자산 선호 등 구조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진단한다. 24일 한국은행의 2분기 GDP 발표, 29~30일 연준 FOMC 정례회의 등 주요 이벤트에 따라 금값 변동성은 다시 확대될 수 있다. 연준이 인하 신호를 줄 경우 금값은 추가로 오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향후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 발언 수위,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 미중 무역협상 진전 등 외부 변수에 따라 금 시장의 방향성이 좌우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FOMC를 비롯한 주요 글로벌 이벤트에 예의주시하며 단기·중장기적 투자전략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파월#한국거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