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서울시민 안전 위협하는 한강버스”…오세훈 시장 행정 책임론 확산

정유나 기자
입력

한강을 무대로 펼친 새로운 대중교통 사업이 정치권의 격돌 지점으로 부상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서울시가 한강버스 운항 중 안전사고를 둘러싸고 정면 충돌했다. 전날 잠실 선착장 인근에서 한강버스가 수심이 얕은 구간을 지나다가 강바닥에 걸려 멈추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16일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해 운항 전면 중단과 근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태스크포스와 서울시당 새서울준비특별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시민 안전 위에 보여주기 행정을 쌓아 올릴 때 어떤 위험이 발생하는지를 보여준 신호”라고 평가했다. 또 “한강버스 개통 첫날부터 총 16차례 사고가 있었다”며, 반복된 경고에도 오세훈 시장이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시에 대해선 “그간 발생한 한강버스 안전사고의 원인과 대응 과정 조사 결과를 내놓고, 각 선착장의 안전 기준과 시설물 관리, 비상대응 체계를 전면 개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한강버스 사업의 지속 가능성과 공공교통으로써 실효성에 대한 평가도 설명하라고 압박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페이스북에 관련 기사를 게시하며 “안전 행정보다 더 중요한 행정은 없다”고 강조했다. 박상혁 원내소통수석부대표는 “오 시장의 무능과 욕심이 시민 안전을 위협한다”고 주장했으며, 김성회 의원도 “모든 행정을 선거에 맞춰 급하게 하면 안 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당국은 사고 원인과 대응 체계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며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야권의 전시성 사업 추진 비판, 그리고 여당 내에서도 “안전 확보 후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 힘을 얻으면서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한강버스는 오세훈 시장의 대표 정책 사업으로, 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 등 7개 선착장을 잇는 수상 대중교통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잇따른 사고와 안전 우려가 사업 지속 여부에 결정적 변수로 떠올랐다.  

 

정치권은 한강버스 안전 논란을 계기로 서울시의 전체 대중교통 정책에 대한 안전 점검 필요성이 높아졌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국회는 추가 사고 방지를 위한 대책 논의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더불어민주당#오세훈#한강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