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태양 연구시설 나주 정책 지정 요청”…김영록, 박찬대에 국가산단 조기 조성 촉구
에너지산업 중심의 산단 조성을 둘러싼 지역 여론과 정치권의 전략적 셈법이 충돌했다. 6일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인 박찬대 의원과 만나 나주 에너지 국가산단 조성의 속도전을 공식 요청했다. 사업의 조기 진행과 함께 인공태양 연구시설의 정책지정까지 언급되면서, 광주·전남 지역의 균형발전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김영록 지사는 이날 나주산단 현장에서 "인공태양 연구시설을 공모 절차 없이 나주로 정책 지정해달라"며, "에너지기업 수요가 충분하다는 점을 고려해 산단의 조기 분양을 위한 공사 기간 단축에도 힘을 보태달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나주는 세계적 에너지 인프라와 핵심기술, 주민 수용성을 모두 갖춘 최적지"라고 강조하며, "핵융합 기술은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위한 핵심이며, 국가균형발전과 과학기술 격차 해소 측면에서도 나주 정책 지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지사는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른 전라남도 산업단지 분양률도 문제로 지적했다. "전남 산업단지의 분양률은 98%에 달한다"면서, "첨단소재·수소·이차전지 등 미래 수요에 대응하려면 광양만권 내 120만 평 규모의 미래 첨단소재 국가산단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재차 건의했다.
박찬대 의원은 전남도와 김 지사의 건의에 긍정적 신호를 보냈다. 박 의원은 "에너지 산업 육성과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전남도의 노력이 결실을 거둘 것이라 생각한다"며, "새 정부가 나주 에너지 국가산단 조성계획에 이미 서명한 만큼, 건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지방 산업단지 조성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지원 논쟁이 본격화됨에 따라, 정부의 실질적 지원 범위와 추진 속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역균형발전과 에너지 산업 육성을 둘러싼 논란은 하반기 국회와 정당 주도의 정책 공방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는 내년도 예산안과 연계된 국가산단 지원 방안을 두고 본격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