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역행 논란"…전한길, 한 달 넘는 국민의힘 입당 진통 속 파장
보수정당 내 혁신 노선을 둘러싼 충돌이 전한길 국민의힘 입당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격화되고 있다.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국민의힘에 온라인으로 당원 가입을 신청한 지 한 달이 넘도록 지도부가 이를 파악하지 못한 가운데, 당내 비주류 인사들은 보수 혁신에 정면으로 역행한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전한길씨는 지난달 8일 자신의 본명 전유관으로 온라인 입당을 신청했고, 국민의힘 서울시당은 이튿날 입당을 승인했다. 이 사실은 7월 14일, 전한길씨가 윤상현 의원 주최 토론회에 참석해 당원임을 밝히면서 비로소 당 안팎에 알려지게 됐다. 지도부 또한 토론회 이전까지 전씨의 소속을 확인하지 못해 허점을 노출했다.

입당 경위와 관련해 정점식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17일 비상대책위원회 종료 후 "6월 9일 입당이 됐다. 온라인 입당의 경우 구체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고, 입당을 거부할 제도적 장치도 없다"고 설명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도 "입당 신청의 대부분이 온라인을 통해 이뤄진다"며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입당을 막을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부연했다.
당 안팎에서는 전씨의 입당이 당내 혁신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보수진영 안팎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론 선봉에 섰던 전씨의 합류가 이미 계엄과 탄핵 이후 민심 이반으로 대선 패배를 겪은 여당의 변화 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부상했다.
비주류 인사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전한길 강사 같은 '부정선거 음모론'과 '윤석열 어게인'의 아이콘을 정당에 받아들이는 것을 국민이 어떻게 볼지 심각히 생각해야 한다"고 페이스북에 올렸다. 또한 계엄 사죄를 당헌·당규에 반영하는 혁신안을 제안한 윤희숙 혁신위원장 역시 "가입 자체를 막을 수는 없으나 당이 점점 더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데 우려가 크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내가 당시 비대위원장 신분이었더라면 당원자격심사위를 통해 입당을 저지했을 것"이라며 "부정선거와 계엄 옹호 발언을 반복한 전한길씨를 즉각 출당 조치해야 한다"고 강경하게 주장했다. 아울러 일각에선 전 씨의 입당 시점이 김 전 위원장이 현직에 있을 때였음을 들어, 책임론도 함께 제기됐다.
당 혁신위원회가 ‘과거와의 단절’과 ‘중도 확장’을 내세우며 변화 동력을 모색하는 상황에서, 전한길씨의 입당은 정치적 균열을 더욱 심화시키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온라인 입당 풍선효과, 비주류 강경파와 혁신 노선 사이의 긴장 등 복잡한 내홍에 직면하게 됐다.
당 지도부는 내홍 수습과 정당 혁신 방향 모색을 병행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전한길씨와 같은 인사의 추가 입당이 이어질 경우 내부 갈등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이날 전씨 입당 논란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며, 보수정당의 미래와 혁신 추진 동력을 둘러싼 정면 충돌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