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족관절 염좌, 조기 치료가 관건”…전문가들 만성화 경고
IT/바이오

“족관절 염좌, 조기 치료가 관건”…전문가들 만성화 경고

신도현 기자
입력

족관절 염좌가 여름철 스포츠 인구 급증과 맞물려 대표적 운동 손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족관절 염좌는 운동, 외부 충격,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발목 접질림 등으로 발목 인대가 늘어나거나 파열되는 질환으로, 최근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결과 매달 약 20만 명 이상이 치료를 받고 있다. 업계와 의료계에서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만성 염좌로의 이행을 막는 관건이라는 데 주목하고 있다.

 

족관절 염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빅데이터 기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환자 수가 2.44% 증가했다. 가장 취약한 인대 손상의 등급은 1도(경미한 인대 신장), 2도(불완전 파열, 부종·기능 저하), 3도(완전 파열, 체중부하 불가)로 나뉘며, 손상 정도에 따라 진단과 치료 방식이 달라진다.

기본 치료는 RICE 치료법으로 불리는 휴식(Rest), 냉찜질(Ice), 압박(Compression), 높이기(Elevation)를 통한 보존적 접근이 중심이며, 중증 또는 불완전 회복 시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실제 임상에서는 4~6주간의 적절한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는 사례가 많지만, 회복이 미흡할 경우 반복 손상과 만성 염좌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의료현장 및 디지털 헬스케어에서는 족관절 손상 관리를 위한 데이터 기반 예후 예측 및 재활 프로그램 개발 등 IT 융합 솔루션 적용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환자와 소비자 입장에서는 스포츠 활동 증가 시 발목 균형성과 유연성 증진, 올바른 신발 착용 등 예방관리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웨어러블 기기 및 운동 데이터 분석 플랫폼 등을 활용해 족관절 손상 예측 및 관리 서비스가 확산되는 추세로, 미국, 유럽 등 스포츠 의료에서 정보통신 기반의 예방·재활 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다.

 

규제·정책적으로는 의료 데이터 활용 및 개인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개발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족관절 손상 관리에 필요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재활 경과 추적 등도 디지털 헬스케어 인증 기준에 포함되고 있다.

 

장우영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족관절 염좌는 초기 치료가 재발 예방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며 “양측 발목을 함께 재활하고, 스포츠 전·후 준비운동과 평상시 근력 강화를 병행하는 것이 만성화 예방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IT기반 예후 예측·재활 서비스가 실제 현장에 확대 적용될지 여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족관절염좌#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