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이전 고래가 멸치 됐다”…박형준, 권역별 투자공사 추진에 강력 반발
정치권의 신경전이 다시 가열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일,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의 권역별 지역투자공사 설립 방침을 두고 거세게 반발했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공약이 사실상 후퇴했다는 주장이다. 박 시장은 연일 정부와 여당을 향해 비판 수위를 높이며 부산 민심을 자극하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 공약으로 진행되던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결국 권역별 지역투자공사로 전락했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대한민국 혁신 균형발전의 기폭제’로 비유하면서, “고래에 비유했던 프로젝트가 동남권 투자은행, 다시 투자공사로 격하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래가 참치가 되고 다시 멸치가 된 격”이라며 정부 방침 변화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지방정부를 포함해 여기저기서 출자받아 만드는, 실효성이 의심스러운 3조원짜리 권역별 지역투자공사가 산업은행 이전의 대체재가 될 수 없는 것은 자명한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무엇보다 부산시민을 우롱하는 조삼모사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그는 “다 된 밥이던 산업은행 이전을 굳이 엎어버리고 설익은 밥을 먹으라니 참으로 답답한 노릇”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정치권의 시각도 엇갈린다. 박형준 시장은 “명백한 대통령 공약 파기”라고 직격탄을 날린 반면, 지방시대위원회 측은 “권역별 투자공사 설립은 지역 균형발전과 투자 촉진을 위한 최적안”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 방침이 부산을 비롯한 지역 민심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 시장의 강경한 대여 비판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내 입지 강화와 지역 여론 결집을 동시에 노린 전략으로 읽힌다. 여당과 정부가 후속 대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투자공사 설립 논란은 장기적인 정치 쟁점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날 부산 정치권은 지역 균형발전과 산업은행 이전 문제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정책 후퇴 논란이 정국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추후 지역 투자 활성화 대책을 두고 추가 검토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