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직시하되 미래로”…이재명 대통령, 첫 방일 앞두고 한일 협력 확대 강조
정치적 갈등의 한복판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한일 외교 정상회담을 앞두고 협력 확대라는 메시지를 내놨다. 일본 언론과의 공동 서면 인터뷰를 통해 과거사 문제, 일본산 수산물 수입, 한일 협력 방안 등이 주요 의제로 부상했다. 여론이 촉각을 곤두세운 가운데, 이번 이 대통령 발언은 향후 한일관계의 새로운 시작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8월 23일 오전 일본으로 출국하기 직전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닛케이신문, 산케이신문과의 공동서면 인터뷰에서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자”라며 협력 확대 의지를 알렸다. 그는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해나가자는 것이 저의 신념이자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원칙”이라고 강조하며, “한일관계에는 대립과 협력, 공존과 용인의 측면이 공존한다. 유익한 점을 최대한 찾아야 하며, 부정적 요소 때문에 중요한 협력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이번 일본 방문이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역내 평화, 안보, 경제 협력 등 다방면에서 의견을 교환하겠다”고 말했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도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진실과 감정의 문제이기 때문에 사실 인정과 진심 어린 사과, 위로가 중요하다”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인간적 고민 속에 논의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다만 “문제에 너무 매몰돼서도 안 된다.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하며 상호 이익을 최대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국내 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일본산 수산물 금지 조치 해제 요구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이는 일본과의 협력을 꾀하되, 국민 건강과 신뢰를 전제로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납북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공감하고 있다. 인도주의 차원에서 반드시 해결돼야 할 사안”이라며 “북한 관련 다양한 의제를 위해 대화 복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일 양국이 북핵, 납북자 문제 등 공동의 현안을 논의할 필요성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또한 “셔틀 외교” 복원을 한일 간 교류 확대의 출발점으로 삼고, 한미일, 한일중, ASEAN+3,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등 다자 및 소다자 협의체 활용 계획도 밝혔다. 그는 “동아시아와 태평양 연안국 경제협력기구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부 전문가 등에서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CPTPP 가입 논의가 물밑에서 진행될 가능성도 제기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향후 한일 정상회담이 한일관계 재설정은 물론 동북아 외교 지형 변화의 분수령이 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한일 실무협의·국민 설득 등의 후속조치를 다각도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