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셧다운 총력 규명"…송언석, 윤호중 사퇴 촉구하며 국회 현안 질의 강공
국가 전산망 셧다운 사태를 둘러싼 책임공방이 거세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27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정부 전산시스템이 대규모로 마비된 사태와 관련, 국회 차원의 현안 질의와 진상규명을 예고하면서 정치권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전국 주요 행정서비스 647개가 일시 중단된 이번 사태는 “재난급 참사”라는 평가 속에 정치적 파장 또한 확산되는 분위기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가 전산망 셧다운 사태의 진상규명과 향후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국회 현안 질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태는 2023년 행정망 마비 당시 2개 서비스가 멈췄던 것과는 달리,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규모이자 심각한 재난급 참사”라고 강조했다. 송 원내대표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수습이 마무리되는 대로 이번 사태에 책임지고 사퇴하길 바란다”며 강하게 압박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들 앞에 나와 사태의 원인과 전말, 책임에 대해 소상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 역시 이날 대전의 화재 현장을 직접 방문하며 진상 파악과 책임 규명에 착수했다. 정치권에서는 대규모 행정 서비스 중단의 여파를 감안할 때,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지휘라인의 책임 소재를 둘러싸고 여야 간 강한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신속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하는 한편, 현안 질의를 통해 정부의 위기 대응 체계 문제를 집중 제기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맞서 야당은 정부와 여당이 국민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근본적인 시스템 재점검과 함께 책임있는 대처를 재차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전산망 대란 사태가 IT 인프라 전반의 관리 부실을 드러냈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국민 생활에 직결되는 전자서비스의 보안과 복구 체계 강화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국회는 이번 국가 전산망 셧다운 사태를 계기로 추가 경위 파악과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한 본격 논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정치권은 책임 소재와 재발 방지책을 둘러싸고 한동안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