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오픈월드 대작”…펄어비스, 붉은사막 플레이 공개로 글로벌 주목
차세대 오픈월드 게임 기술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펄어비스가 선보인 '붉은사막'은 자체 개발 엔진인 블랙스페이스로 구현된 사실적 그래픽과 대규모 전투 시스템, 전략적 액션 요소가 집약된 작품으로, 2025년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업계는 펄어비스의 이번 공개가 글로벌 대작 게임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펄어비스는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게임스컴 2025'에서 붉은사막의 새로운 시연 영상을 공개하며, 관람객에게 게임의 방대한 오픈월드와 다양한 퀘스트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에 발표된 플레이 영상은 실제 대규모 전장을 방불케 하는 전투 연출과 몰입도 높은 스토리 라인, 사용자 조작의 다양성 등 기술적 완성도를 보여준다. 주인공 ‘클리프’와 동료들의 여정, 적대 세력 '검은 곰'과의 전투, 그리고 전략적 임무 수행 과정이 사실적으로 구현됐다.

붉은사막의 핵심 구현 기술은 자체 개발한 블랙스페이스 엔진에 있다. 최신 그래픽 렌더링 기법을 통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연광, 날씨 효과, 고해상도 자연 지형 등 리얼타임 환경 변화를 실감 나게 연출했다. AI를 활용한 NPC(Non-Player Character)의 군집 행동, 대규모 실시간 전투, 각종 물리효과 및 입자 표현은 기존 오픈월드 게임 대비 몰입감과 스케일을 대폭 확장했다. 예를 들어 불·얼음·번개 속성이 부여된 '섭리의 팔찌' 아이템은 전투 전략의 다양화를 지원하며, 사용자는 주인공의 무기를 실시간 속성 강화, 이동 방식 변경, 효시(지정 공격 등)와 같은 전술적 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 국내외 오픈월드 게임들은 그래픽·전투 규모·자유도의 한계를 반복해왔으나, 붉은사막은 수십 명 단위 NPC 집단전, 대포·효시 등 실감 무기 시스템, 시네마틱 환경 연출 등 기술적 진화를 꾀했다. 이와 함께 강력한 몬스터 AI 설계, 사용자 액션 다양화, 보스전 기믹(공략 요소) 등 차별화된 플레이 경험이 제공된다. 특히 실시간 자연 환경 변화, 고품질 그래픽 구현력은 해외 대표작(엘든 링, 위처 시리즈 등)과 견줄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펄어비스는 자체 엔진/그래픽/AI 등 주요 기술을 내재화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다. 업계에서는 게임스컴을 기점으로 북미·유럽 등 대형 게임 시장에서 진출 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게임 업계도 메타버스, AI 기반 대작 게임 부문에서 혁신적인 기술 경쟁이 이미 격화된 상황이다.
적용 분야 측면에선 붉은사막의 오픈월드 시스템, 대규모 전장 설계 노하우가 향후 다양한 게임 개발 및 라이선스, 학습형 AI 플레이 보조기술(오토 액션, NPC AI 등)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고품질 그래픽 구현에 따른 시스템 사양 및 서버 인프라, 안정적인 글로벌 동시 접속 환경 구현 등 IT 인프라의 도전 과제도 제기된다.
규제와 관련해 콘솔·PC가 중심인 현행 게임 심의 체계, 게임 내 AI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 콘텐츠 등급화와 관련한 정책 논의가 병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게임 내 AI 요소, 대규모 사용자 데이터 처리와 관련한 글로벌 표준 및 데이터 보호, 윤리적 설계 의무가 중요해진다고 지적한다.
허진영 펄어비스 대표이사는 이번 게임스컴을 통해 붉은사막의 구체적 출시 일정은 미정이나, 2025년 1분기 내 출시를 목표로 최종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붉은사막 시연 버전 완성도가 글로벌 AAA급 대작에 근접했다”며 “정식 출시에 맞춰 게임 산업 내 기술·콘텐츠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과 콘텐츠 혁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경쟁과 글로벌 진출, 게임 문화와 데이터 윤리의 균형이 새 성장 조건이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