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연루 의혹 기업 겨냥”…특검, 카카오모빌리티·HS효성 등 수상한 투자 경위 집중 조사
정치권이 김건희 여사와 연계된 이른바 ‘보험성 투자’ 의혹을 둘러싸고 격렬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7월 14일 김건희 대통령 부인 일가의 ‘집사’로 불린 김예성 씨 관련사에 수십억 원을 투자한 대기업과 금융기관들을 정조준하며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각 기업은 사업적 판단임을 강조하면서 정면 반박에 나섰다.
특별검사팀은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윤창호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 등 당시 투자 집행에 관여한 경영진을 17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 사무실로 소환할 계획이다. 특검은 이들에게 김예성 씨가 임원으로 있던 IMS 모빌리티 및 관련 회사에 거액이 투입된 경위와 목적에 대한 해명을 요구할 방침이다.

IMS 모빌리티는 2023년 6월 사모펀드를 통해 184억 원을 유치했다. 당시 부채가 1,414억 원에 달해 순자산(556억 원)의 두 배 이상을 웃돌며 심각한 자본잠식 상태였던 점을 두고 “투자 규모와 유치 과정이 석연찮다”는 시각이 커졌다. 또 카카오모빌리티 등이 투자한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는 김예성 씨의 차명회사로 지목된 이노베스트코리아 지분 인수에 46억 원을 투입한 것으로 밝혀져, 자금이 김씨 ‘엑시트’로 연결됐다는 의혹도 뒤따랐다.
특검팀은 이들 대기업과 금융기관 투자가 경영적 손실 위험에도 불구하고 김건희 여사 집안 관련사에 자금을 넣어 향후 법적·정치적 리스크를 줄이려 했던 ‘보험성’ 성격이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 예컨대 30억 원을 투자한 카카오모빌리티는 투자 직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자사 택시 플랫폼 카카오T의 배차 알고리즘 조작 의혹으로 200억 원대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투자 직후에도 금융감독원의 매출 부풀리기 조사 대상이 된 바 있어, “정치 리스크 회피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HS효성은 계열사 4곳을 동원해 35억 원을, 한국증권금융은 50억 원을 투자했다. 특히 한국증권금융은 업황이 좋지 않았던 IMS 모빌리티에 국내 증권금융 전담사로서 이례적으로 거액을 투입했다는 점이 논란을 샀다.
각 기업과 기관들은 “김건희 여사나 김예성 씨와 무관하다”며 정면 반발했다. IMS 모빌리티와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 측은 “사업적 시너지와 재무적 관점에 따른 결정”이라고 밝혔고, 카카오모빌리티 역시 “플랫폼 협력과 렌터카 신규 서비스 출시에 따른 전략적 투자”라고 해명했다. HS효성 역시 그룹 내 메르세데스-벤츠 딜러 사업과의 시너지를 고려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의혹 제기가 지속되자 정치권에서는 특검 조사를 통해 실제 대가성 여부와 최고경영진 투자 결정의 배경을 낱낱이 밝힐 필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앞으로 소환조사 결과에 따라 김건희 여사 일가를 둘러싼 정치·경제계 파장이 확산될 지 주목된다.
특검팀은 이번 소환조사를 바탕으로 각 투자 건의 합리성 및 대가성 여부를 집중적으로 규명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김건희 연관성 의혹과 관련한 실체적 진실 여부를 두고 치열한 여론전과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