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로봇 기술 일상으로”…서울시, 스마트라이프위크서 미래 체험 확대

이예림 기자
입력

AI와 로봇 기술이 도시와 일상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변곡점에 이르렀다. 서울시가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스마트라이프위크 2025’는 인공지능, 로봇, 기후테크 등 첨단 분야의 기술을 시민 눈높이에서 체험하고, 현장에서 미래 산업 트렌드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업계는 확대된 전시 규모와 글로벌 혁신 기업 참여를 ‘AI 대중화 경쟁의 분수령’으로 해석한다.

 

올해 두 번째인 이번 스마트라이프위크에는 80개국 121개 도시와 330여 개 기업·기관이 참여하고, 전시 면적도 지난해 대비 72% 확대됐다. 핵심인 ‘AI 쇼룸’에서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상 흐름을 따라 생활 깊숙이 스며든 AI 기술을 소개한다. 관람객은 스마트홈, AI 은행 서비스, 방송 특화 로봇, 무인 자율차 등 AI 기반 생활형 솔루션을 직접 경험한다. 신설된 로봇 전시·체험관에서는 스포츠 경기 종목을 수행하는 인간형 로봇, 약자 돌봄과 재활, 재난 대응, 우주·수중 탐사 로봇 등 미래형 로봇의 진화상과 파급력을 확인할 수 있다. CES 혁신상을 수상한 로봇 솔루션, 60여 국내 로봇·약자동행 기업의 현장 참여는 기술의 사회적 가치와 산업 활용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글로벌 기업 및 대학, 연구기관도 대거 합류해 첨단 AI·로봇 기술과 실증 결과물을 선보인다. IBM, 알리바바, 딥로보틱스, MIT, 케임브리지대학 등이 협력한 글로벌관은 인증받은 혁신기술을 통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 흐름을 강조한다.

 

특히 기후테크 파트는 올해 처음으로 대폭 강화됐다. ‘기후테크 컨퍼런스’ 세션에서는 서울대, 현대차재단, 인플루언서 등 폭넓은 주체가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실현 기술, 지속 가능한 미래전략을 토론한다. 산업계는 “AI·로봇 기반의 자원 최적화, 에너지 관리 솔루션이 기후테크의 새 성장축이 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스마트라이프위크는 전시장 곳곳에 시민 체험형 프로그램을 강화했다. 세계 최초 ‘터널형 키네틱 미디어파사드’, 국문·영문 도슨트 투어, 오디오 도슨트가 운영돼 전문 해설과 자유로운 탐방을 모두 지원한다. 시민이 직접 전시기업을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하는 시민혁신상 등 참여형 이벤트도 늘렸다. 입장료 없이 현장 등록만으로 누구나 관람할 수 있어 진입 장벽도 낮췄다.

 

글로벌 도시는 AI·로봇 혁신 기술에 대한 직접 체험과 현장 피드백을 중요시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실제 사용 경험과 사회적 수용성 확보가 디지털 산업 성장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이에 따라, 서울의 스마트라이프위크는 첨단 기술 체험과 산업-시민 간 접점을 선도하는 미래형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행사가 일상화된 AI와 로봇 기술이 실제 도시와 경제 현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울시#스마트라이프위크#ai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