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된 남북관계 복원”…정동영, 한반도 평화공존 재구축 강조
정치적 충돌 지점에 선 남북 관계 복원과 한반도 평화공존 체제 수립을 두고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주목받는 모두발언을 내놓았다. 정 후보자는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폐허가 돼버린 남북 관계를 다시 복원하고 무너진 한반도의 평화 공존 체제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북의 갈등과 국제정세의 격랑 속에서 한반도 미래 전략에 대한 정치권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동영 후보자는 “자유의 북진이 아닌 평화의 확장으로, 적대적 대결이 아닌 화해와 협력으로 한반도 평화의 물길을 다시 돌려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엄혹한 국제정세 앞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희망과 기대보다 걱정과 우려의 시선이 큰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지난 시기를 돌아보면 급변하는 국제 질서와 강대국 정치의 틈바구니 속에서도 우리는 한반도 평화 구축의 역사를 쉼 없이 써내려 왔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 2018년 4·27 판문점 선언 등을 언급했다. 그는 “당시는 불가능해 보였지만 국민들의 인내와 저력이 만들어 낸 역사적 산물”이라며 과거 남북 합의의 의미를 평가했다.
이어 “과거가 현재를 돕고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한다”고 표현하며, “지난 시기에 남북이 합의한 것들에 대한 이행방안을 고민하면서 멈추어 서버린 1단계 화해 협력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동영 후보자는 “남북 관계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지 않도록 한반도의 평화 공존을 향한 작은 발걸음을 통해서 사실상의 통일로 계속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그것이 우리 민족이 살고 한반도가 번영하는 길”이라고 부연했다.
정치권에서는 정동영 후보자의 소신 발언을 계기로 남북관계 복원 및 새로운 평화 프로세스 논의가 본격화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각 정당의 반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현안에 대한 향후 질의 과정에서 현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남북 간 대화 재개 방안 등에 대해 치열한 논쟁이 예고된다.
이번 정동영 후보자의 청문회 발언을 계기로 향후 통일부 정책기조와 국회 논쟁이 어떻게 이어질지 정치권과 국민 모두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