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탈당 선언, 거센 야권 ‘기만’ 비판 쏟아져”…이준석·민주, 내란 책임 추궁→정국 격랑
찬란한 봄날의 아침,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탈당을 전격 선언하자 정치권은 깊은 파문에 휩싸였다. 국민 앞에서 자유와 주권 수호를 외치며 홀로 떠난 윤 전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더불어민주당이 강도 높은 비판을 잇따라 제기했다. 정치적 책임이 무겁게 가라앉은 공간, 탈당의 명분 이면에는 조직적 기만과 분리 시도라는 의혹이 가득했다.
이준석 후보는 사회관계망서비스 글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이 결코 ‘비상계엄 원죄’와 무관할 수 없다고 일갈했다. 부정선거 망상과 내란 논란이 중심에 있는 이 복잡한 정국에서, 그는 "탈당한다고 원죄를 지울 수 없으며, 김문수 후보가 시대착오적 인식으로 내란 논란을 증폭시켰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경쟁 속에서 이준석 후보는 윤석열과 김문수 모두, 정치적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강조했고, "진정한 진검승부는 두 사람이 모두 물러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대변인도 강경한 목소리를 냈다. 그는 탈당 선언을 “짜고 친 대국민 사기극”이라 규정하며, 내란 수괴와 내란 후보의 조직적 결별 시도임을 강조했다. 황 대변인은 “윤석열의 변엔 반성과 사과 대신 망상과 자아도취만 넘치고, 김문수를 지지하는 것 자체가 결국 ‘극우 내란 후보’임을 스스로 입증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을 ‘한심한 내란 잔당’이라 부르며, “윤석열 인증 후보 김문수는 이제 극우 내란 후보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다”며 국민의 가혹한 심판을 예고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또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을 ‘위장 이혼’이라 비유하며, 국민적 신뢰를 받을 수 없는 선택임을 강조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과 김문수 후보를 동일선상에 올려, 두 사람 간의 분리는 결국 불가능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은 김문수 후보와의 거리 두기를 공식화하려는 듯 전날까지 확실한 입장을 피했던 것과 달리 느닷없이 발표됐다. 그는 “백의종군하겠다”며 지지자들의 결집을 독려했지만, 야권과 경쟁 후보들은 이번 행보를 조직적 분리 시도이자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로 비판하며, 정국의 긴장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정치권과 국민 여론은 이번 사태가 향후 대선 구도에 어떠한 파장을 남길지에 주목하고 있어, 정당 간 긴장과 진흙탕 책임 공방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