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2만달러 지지선 붕괴”…암호화폐 시장 추가 하락 경고에 긴장
현지 시각 18일, 암호화폐 비트코인(Bitcoin)이 12만달러의 심리적 지지선을 하락 돌파하며 국제 금융시장에서 단기 추가 하락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시장 전문 매체 뉴스BTC는 “연초 최고가 경신 후 조정 국면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분석해 투자자들의 경계심을 끌어올렸다.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12만4천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단기 매도세가 집중되며 11만6천200달러를 일시적으로 하회했고, 한때 11만5천800달러까지 가격이 밀렸다. 차트상 100시간 단순이동평균선과 주요 지지선이 모두 무너진 상황으로, 당분간 약세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가격 급락은 단순 조정 국면인지, 혹은 강세장이 정점을 지난 뒤의 본격적인 하락 전환인지에 대한 해석 차를 낳고 있다. 비트코인 시장은 최근 몇 년간 유동성 확대와 기관 자금 유입 덕분에 사상 최고가를 경신해 왔으나,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와 투자 심리 위축이 더해지면서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암호화폐 산업 내외에서는 “과거에도 비트코인이 대규모 조정 이후 곧바로 반등한 사례가 있었다”며 신속한 추세 복귀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각국 규제당국과 투자자들의 반응도 엇갈린다.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낙관론자들이 강세 사이클 내 조정일 뿐이라 주장하지만, RSI 등 기술적 지표가 약세에 진입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암호화폐 투자 전문가는 “11만8천500달러를 단기 저항선으로 보고, 이를 돌파하지 못할 경우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특히 심리적 마지노선인 11만달러가 무너질 경우, 시장 패닉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진다.
글로벌 주요 언론 역시 이번 비트코인 조정 흐름을 면밀히 진단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단기 하락에 따른 충격이 암호화폐 뿐 아니라 핀테크 시장 전반에 전이될 수 있다”며 리스크를 경고했고, CNBC는 “최종 방향성은 주요 저항선 회복 여부에 달렸다”고 평가했다.
앞으로의 시장 향방은 11만8천500달러 및 12만달러 회복에 달려 있다. 돌파 실패 시 11만3천500달러, 11만2천500달러, 최종적으로 11만달러까지 추가 조정 국면이 이어질 수 있다. 반면 단기 저항을 상회하게 된다면 “저점 매수”가 본격 유입되며 반등 국면 전환도 가능할 전망이다.
이번 비트코인 급락이 향후 국제 암호화폐시장과 투자자 심리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변동성 확대와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