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속 이석 움직임, 어지럼증 원인”…이석증 치료와 재발방지 주목
귀 안의 작은 칼슘 결정인 이석이 평형감각을 흔들면서 빙글빙글 도는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이석증이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발병이 잦아지고 있다. 이석증은 귀의 균형유지 시스템 중 이석이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세반고리관에 들어갈 때 생기는 돌발적이고 강렬한 어지럼질환으로, 아침에 일어서거나 누울 때, 고개를 돌릴 때 세상이 도는 듯한 현상이 1분 내외 짧게 반복된다는 특징이 있다. 업계와 의료계는 최근 연구를 토대로 이석의 안정적 관리와 조기치료가 중요하다고 분석한다.
이석증의 정식 명칭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으로, 분명한 귀질환이나 뇌질환 없이 급성으로 반복되는 어지럼을 뜻한다. 증상은 체위 변화와 밀접히 연관되며, 메스꺼움이나 구토도 흔히 동반된다. 귀는 청각만이 아니라 스마트폰 자이로 센서처럼 머리 위치와 균형을 감지하는데, 이 가운데 이석이 반고리관 내부로 들어갈 때 신경에 이상 신호가 전달돼 돌발성 어지러움이 생긴다.

이석증은 생애 한 번 이상 겪는 인구가 전체의 6%에 이를 만큼 흔하며,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2.3배 많고, 50대 이후 폐경·골다공증 등 이차적 원인이 겹칠수록 위험도가 높아진다. 장기간 침상 생활도 발병률을 높인다. 귀 안의 이석 입자는 노화·호르몬 변동·골밀도 저하로 불안정해져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저절로 녹거나 빠질 수 있으나, 자연 치유에 1개월가량 걸릴 수 있고 일상 회복이 지체된다. 의료진은 이석치환술 등 적극적 물리치료를 통해 빠른 증상 해소를 권한다. 이석치환술은 신체 위치를 반복적으로 변화시켜 이석을 원래 자리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1회 시술로 완치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수차례 반복이 필요하다. 시술 후 어지럼이 남을 땐 증상완화 목적의 진정제·진토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석증의 재발은 낮은 골밀도, 이석의 미세 입자화 등 구조적 문제로 언제든 생길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칼슘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규칙적으로 햇빛을 쬐는 것이 필수적이며, 장기 침상 생활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석증이 쉽게 치료되지만 신경마비나 장시간 어지럼 등 추가적 이상 신호가 나타나면, 뇌졸중,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등 중대한 뇌신경계 질환 감별이 필요하다.
서재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어지럼증 지속이나 신경 마비증상이 있으면 단순 이석증이 아닐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 진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산업계 관계자들은 노인·여성 인구 증가 속에서 이석증 선별 진단·예방기술 개발, 균형감각 웨어러블 센서 확대 등 관련 바이오 의료기기사업의 확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석증 관련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