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비상진료·교통 지원 총력”…국가보훈부, 보훈 가족 안전 대책 강화
정책적 관심이 쏠리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가보훈부가 보훈 가족의 편의 보장을 위한 비상관리 체계에 돌입했다. 병원·묘지 이용 불편과 안전 대책을 둘러싼 보훈 가족과 정부 간 신뢰가 시험대에 오른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 대응에 나선 것이다.
국가보훈부는 2일 "오는 3일부터 9일까지 전국 보훈병원과 국립묘지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중앙·부산·대구·대전·광주 등 전국 5개 보훈병원의 응급실이 24시간 진료체계를 갖추고, 920개 지정 위탁병원 중 일부에서도 지역별로 응급실 운영이 이뤄진다. 구체적 진료병원 정보는 한국복지의료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원·광주·김해·대구·대전·남양주·원주·전주 등 전국 8개 보훈요양원에선 사전 예약 후 대면 및 비대면(영상통화) 면회가 가능하다. 동시에 보훈부는 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을 포함한 전국 12개 국립묘지의 참배객 이동 편의를 위해 셔틀버스 운행 대수를 대폭 늘렸다. 서울현충원은 기존 9대에서 34대로, 대전현충원은 7대에서 22대로 셔틀버스를 증차해 현충원 방문객 교통 불편을 완화한다. 영천·임실·이천 등 국립호국원에서도 인근 교통 거점에서 셔틀버스를 운영한다.
아울러 보훈부는 연휴 기간 현장 방문이 어려운 유족을 위해 직원이 직접 묘소를 참배하는 '참배 대행 서비스'도 실시한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안장 신청 시스템 접속이 제한된 데 따라, 각 국립묘지에서는 복구 이전까지 전화 상담과 팩스 접수를 통한 안장 절차 안내 및 서류 처리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국가보훈부는 연휴 기간 응급 및 민원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비상근무조를 편성해 현장 관리에 만전을 기울일 계획이다.
정치권과 보훈 가족 단체는 연휴 기간 보훈의료·복지 서비스에 대한 우려와 기대의 목소리를 동시에 내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고, 일각에서는 "위탁병원 진료 정보 안내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국가보훈부는 "추석 연휴 동안 보훈 가족이 겪을 수 있는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며, "시스템 정상화 이후에는 보다 신속한 행정 처리를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연휴 이후 보훈병원 진료체계와 국립묘지 교통 편의 정책의 추가 개선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며, 국회에서는 보훈복지 정책 평가와 지원 예산 논의가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