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국민 재정 서비스”…정부, 모두의 재정 11월 출범 예고
정부가 내년 11월, 중앙·지방·교육재정 등 국가 전반의 재정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AI 기반 통합 플랫폼 ‘모두의 재정’을 출범한다. 생성형 AI를 적용해 맞춤형 질의응답, 시각화, 요약 등 대국민 서비스 혁신을 추진하며, 국민의 참여도와 정보 활용성을 크게 끌어올릴 방침이다.
정부는 2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모두의 재정’ 구축안을 논의했다. 현재 분산된 ‘열린재정’(중앙), ‘지방재정365’(지방), ‘지방교육재정알리미’(교육) 등 다수의 재정 공개 시스템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체계적으로 통합할 예정이다. 여기에 보조금24, 중소벤처24 등 각종 재정 정보 서비스와도 연계를 강화해, 오픈API 제공 범위를 지방 100여종, 교육 400여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기술적으로는 대규모 데이터 수집을 통한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도입한다. 기존 예·결산 같은 숫자 위주에서 벗어나 대학·연구기관의 재정보고서까지 학습 데이터로 추가해 분석 정확도와 서비스 폭을 넓히며, 직업·연령 등 이용자 상황에 따라 맞춤형 질의응답과 보고서 요약 등을 자동 제공하게設計했다.
특히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아우르는 멀티모달 기술이 적용된다. 이를 바탕으로 웹툰이나 영상, 카드뉴스 등 다양한 자동 시각화 콘텐츠가 제작돼, 한층 쉽게 재정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재정박물관과 마이크로러닝 영상 등 이러닝 콘텐츠도 신규 제공된다.
또한 ‘국민참여예산’을 ‘국민주권예산’으로 개편, 직접 참여 유형과 보상 범위를 확대한다. 재정용어사전도 3300여 건으로 늘리고, 각종 온라인 채널 확장을 통해 국민 접근성을 높인다.
국산 소버린 AI(주권형 인공지능)의 적극 활용 방침도 눈에 띈다. 정보보호와 데이터 주권을 위해 국내 개발 AI를 기반 기술로 채택하기로 한 것이다. 플랫폼 안정성을 위해 이중 서버 백업 등 재해 대비 시스템 도입도 추진된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부처 의견수렴 및 AI 챗봇 시범, 용어사전 개편 등을 우선 실행하고, 내년 상반기 온라인 재정박물관 오픈, 국민주권예산 리뉴얼을 거쳐 11월 최종 플랫폼을 공개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수요자 맞춤형 재정정보 서비스와 AI 기반 시각화 도입이 국민 신뢰도와 투명성 제고에 실질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플랫폼이 실제 시장에 안착해, 공공재정 서비스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