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관매직 의혹 소환”…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특검 출석 통보 파장
매관매직 의혹과 정교유착 논란이 정국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김건희 여사에게 금거북이 등 고가 귀금속을 전달하며 인사청탁을 했다는 혐의와 관련해 오는 13일 소환조사를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통일교의 국민의힘 당원 가입 의혹이 적발되는 등 정치권과 종교계의 유착 정황에 여야가 긴장 속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박상진 특별검사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배용 씨에게 10월 13일 오전 10시에 출석하라는 요구서를 어제 우편으로 발송했다"며, "전 비서 박씨에게도 14일 출석을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이 전 위원장은 참고인 신분이지만, 수사 과정에서 피의자로 신분이 바뀔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검은 김건희 여사 측에 금거북이 등을 전달하고 국가 교육정책 설계 핵심인 국가교육위원장에 임명된 과정의 배경을 규명 중이다.

특검팀은 최근 김 여사의 모친 최은순 씨가 운영하는 요양원 압수수색에서 금거북이와 자필 편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이배용 전 위원장은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지난달 1일 사퇴했고, 윤석열 대통령은 8일 사표를 수리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화여대 총장, 역사교과서 국정화 집필 등 경력을 두고 교육계 내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통일교 관련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은 한학자 통일교 총재에 대해 4일 재소환을 통보했으나, 한 총재 측은 건강상 사유로 불출석을 알렸다. 특검은 구속된 한 총재에 대한 구속기간을 12일까지 연장했으며, 정교유착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규명을 강화하고 있다. 한 총재는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게 1억원의 정치자금을 전달한 혐의로 지난달 23일 구속된 바 있다.
또한 특검은 통일교가 2023년 3월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교인들의 집단 가입을 추진했다는 정황을 포착했다. 지난달 30일 경남도당 압수수색에서 통일교 측 인사가 추천인으로 기재된 300여 장의 당원 가입신청서를 확보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이 교인으로 추정된다고 확인했다. 주된 가입 시기는 2022년 11월부터 2023년 3월까지다. 강제 가입 뒷받침 증거 확보에 따라 정당법 위반 수사도 계속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대통령실과 국민의힘, 통일교를 둘러싼 매관매직과 정교유착 논란이 격화되면서 정면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야는 수사 결과와 정치적 책임을 놓고 공방을 이어가고 있으며, 정부는 특검 수사 진전 상황에 따라 추가 대응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