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 이전, 1만의 효과”…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북극항로 선도 의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여부를 둘러싸고 정치권의 의견이 맞서고 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14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국가 균형 발전과 상충하지 않으며, 새로운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전재수 후보자는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옮겨 북극항로 시대를 제대로 준비한다면 1천,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외청을 부산에 두는 것보다 해수부 본부를 이전하는 효과가 훨씬 크다”며 기존 충청권 의원들의 외청 설치 대안에 반대 입장을 보였다.

이어 전 후보자는 “얼음이 녹아 새로운 뱃길이 열리고, 북극항로를 두고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출발이 늦었다고 볼 수 있다”며 시의적 대응을 강조했다. 아울러 “세종 행정도시 완성이나 국가 균형 발전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차별화된 논거를 제시했다.
해수부 장관 적합성을 놓고 상임위 경력 부족 지적이 이어지자, 전 후보자는 자신이 부산 출신이자 부산 지역구 국회의원임을 내세웠다. “부산에서 바다를 떠나 정치할 수 없다”며 해양 현장 경험과 지역 대표성을 기반으로 한 전문성을 강조했다.
찬반이 엇갈리는 해수부 이전 논란에 대해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 등 일부 의원들은 외청 설치안, 균형 발전 훼손 우려를 제기했다. 전 후보자는 이에 대해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가 훨씬 크다”는 입장을 반복하며 반박했다.
한편 지방선거 부산시장 출마설과 관련해서는 “내년 부산시장 선거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 장관이 된다면 해야 할 일이 산더미”라고 즉답을 피했다. 수산업 소외 우려에는 “수산 전담 차관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제도적 보완 의지도 밝혔다.
차량 과태료 납부 내역 다발 등 도덕성 논란엔 “부주의했다. 공직자로서 교통 법규를 더 신중히 준수하겠다”고 사과했다.
해수부 이전 논의는 향후 정치권 내 공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회는 해양수산부의 지역 이전과 북극항로 전략 추진 등을 놓고 본격적인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