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현안 위해 여야 협력”…김진태·우상호 첫 회동, 내년 도지사 선거 앞 정가 긴장
강원 지역 정치적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이 본격화됐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와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처음으로 공식 회동하며 도정 현안 협력 논의를 이어갔다. 내년 강원도지사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 대목이다.
이날 회동에서 김진태 지사는 강원특별자치도의 현안 68건을 정리해 우상호 수석에게 건의했다. 사업 내용은 국가 주요 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현안을 중심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강원 7대 공약 구체화까지 아우른 것으로 전해졌다. 새 정부가 추진하는 5대 강국 비전(경제, 외교안보, 문화, 민주주의, 복지)에 맞춘 18건의 국가 제안과제와 지역별 50건의 정책과제가 포함됐다.

김진태 지사는 “국회의원 시절 의원실이 바로 옆에 있었는데 다시 만나 반갑다”며 “강원도 현안에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특히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와 미래산업, 사회간접자본(SOC) 현안 추진을 강조했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강원도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역 현안을 갖고 왔다”며 “적극적으로 김 지사님과 협력해 임기 내 실행할 수 있는 사업은 착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강원도는 전통적으로 여야 협력이 이뤄진 지역”이라며 “특별법 3차 개정안뿐만 아니라 군사보호구역 해제, 이민정책 규제 완화도 국방부, 법무부 등 관계 부처와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정기획위원회 내 허영 국회의원을 통해서도 지속적으로 협조를 이어가겠다고 언급했다.
지역 정가의 관심은 두 인물의 첫 공식 만남에 정치적 의미를 더하는 분위기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우상호 수석은 강원 철원 출신으로, 내년 6월 치러질 지방선거에서 강원도지사 후보로 하마평에 올라 있다. 우 수석은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이자 강원선대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지역 기반을 다진 바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 지사와 우 수석의 첫 대면이 내년 도지사 선거의 전초전일 수 있다"며 신경전의 서막을 예고했다. 또 “현안 전달과 별개로, 각 진영의 행보가 계속 교차하며 선거구도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도 나온다.
이처럼 강원 지역 주요 현안과 도정 협력 논의는 내년 지방선거 구도와 맞물리며 정치적 파급력이 커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두 인사의 움직임과 여야 협력 모멘텀, 68건 현안의 처리 속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