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솔라나, 월가의 차세대 선택지로 부상”…제도권 인프라 도약 기대와 소매시장 투기 열기 공존

신민재 기자
입력

현지 시각 28일, 미국(USA) 증시와 암호화폐 업계는 솔라나(Solana)가 월가(Wall Street)를 중심으로 차세대 제도권 금융 인프라 선택지로 부상한 데 주목하고 있다. 이번 움직임은 토큰화 자산, ETF, 구조화 상품 등 전통 금융 상품과 블록체인 기술의 결합 논의가 심화되는 가운데, 제도권과 소매 투자자 간 상반된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업계 전반의 파장도 커지고 있다.

 

솔라나는 최근 높은 처리 성능과 저렴한 네트워크 수수료를 앞세워 월가의 헤지펀드 및 상품 발행사들로부터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파생상품 거래량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금융 전문지 등 주요 매체의 분석도 잇따르고 있다. 이와 함께 개발자 생태계 확장까지 더해지며, 솔라나의 블록체인 기술이 ETF 등 제도권 금융 구조의 핵심 인프라로 검토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솔라나가 과거 이더리움(Ethereum)이 ‘월가의 첫 블록체인 실험’으로 불렸던 선례를 잇는 새로운 실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확산되고 있다.

솔라나, 월가의 차세대 선택지 부상…소매 투자자는 마가코인 파이낸스 주목
솔라나, 월가의 차세대 선택지 부상…소매 투자자는 마가코인 파이낸스 주목

이 같은 변화는 토큰화 및 구조화 증권 등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편입 움직임이 전 세계 금융시장에 초점을 맞추는 배경과 맞물린다. 일부 글로벌 헤지펀드와 상품 발행사는 솔라나 기반 금융 상품 도입을 심도 깊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배경 속에서 전통 금융권과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 실험이 가속화되는 흐름이다.

 

한편, 소매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는 이러한 제도권 도입과는 또 다른 결을 보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최근 텔레그램, X(구 트위터), 디스코드 등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 ‘마가코인 파이낸스(MAGACOIN FINANCE)’ 등 고위험, 고수익 프로젝트들이 화두에 오르고 있다. 프리세일 중심의 희소성 강화, 커뮤니티 기반 내러티브에 힘입어 투자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부에서는 “마가코인 파이낸스가 상장 조건만 충족하면 수십 배에 달하는 투자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가 제기됐다.

 

제도권 금융이 규제와 유동성, 안정성을 중시하며 솔라나를 선택하는 한편, 개인 투자자들은 ‘밈’(meme)과 내러티브, 초기 진입에 따른 불확실성까지 감수하며 차별화된 이익을 좇고 있다. 이로 인해 인프라 기반의 확장과 투기적 투자 서사가 동시에 맞물리는 이중적 시장 구조가 굳어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솔라나의 이중 트랙 전략이 기존 암호화폐 시장의 판을 다시 짤 수 있다”며, 월가의 디지털 자산 진입과 소매층의 투기 열풍이 어떻게 교차하는지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월가와 소매 투자자가 각기 다른 전략과 리듬으로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며, “이 두 흐름의 교차가 향후 암호화폐 시장 성장 경로를 결정지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제사회는 월가의 제도권 자산 편입과 소매 투자자 신생 프로젝트 투자 열풍이 만들어낼 시장 구조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민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솔라나#월가#마가코인파이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