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서버 먹통에 출근길까지 멈췄다”…전용기, 일반 승차권 판매 75% 급감 지적
정치권이 교통 인프라의 허술함을 두고 또다시 맞붙었다. 지난달 코레일의 추석 열차표 예매 시스템 ‘먹통’ 사태가 출퇴근 등 일상적 열차 이용 승객에게도 큰 피해를 미친 것으로 드러나며,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이 ‘서버 분리’ 등 구조적 대책 마련을 압박하고 나섰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전용기 의원은 “추석 예매와 일반 열차 예매 서버를 분리하지 않은 게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이라면서, 코레일로부터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달 17일 오전 7시부터 7시 29분 사이 코레일 앱과 홈페이지를 통한 일반 승차권 판매량이 1천57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8월 같은 시간대의 일평균 판매량인 6천245건과 비교해 75% 감소한 수치로, 명절 특수 수요에 일상 승객까지 대거 피해를 입은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다.

문제의 시간대는 추석 연휴 승차권 예매가 시작된 시점으로, 코레일 시스템이 과부하에 걸려 예매 서비스가 일시 중지됐던 때다. 전 의원실은 “추석 승차권뿐 아니라 평소 출퇴근이나 업무 등 일상적인 기차 이용객까지 고스란히 불편을 겪었다”며 책임 소재를 묻고 나섰다.
코레일 내·외부 예매 채널 불균형도 드러났다. 같은 시간대 네이버, 카카오 등 외부 플랫폼에서는 일반 승차권 예매량이 기존 일평균 157건에서 561건으로 3배 넘게 뛰었다. 이용자들이 시스템 불안에 코레일 공식 플랫폼 대신 외부 채널로 대거 이동한 정황이 뚜렷하다.
전 의원은 “통합이동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해 명절 승차권 예매를 병행하고, 민간 클라우드 도입 등 IT 기반 개선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버 분리와 구조적 대책 마련 없이 반복될 문제”라고 비판했다.
정치권에서는 코레일의 예매 시스템 장애가 반복될 경우 국민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불편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기존 IT 인프라와 운영방식 전면 개편 없이는 내년 설 등 명절에도 똑같은 혼란이 예견된다”는 입장이다.
이날 국회는 교통망 IT 안정성과 국민 불편 해소 대책을 두고 격렬한 공방을 이어갔다. 국토교통위원회는 향후 코레일과 관계기관을 상대로 서버 구조 개편 및 민간 협력 확대 방안 논의에 들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