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조치는 남북 모두 위한 것”…대통령실, 김여정 담화에 강경 대응
남북 신뢰 회복을 둘러싸고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과 우리 정부가 맞붙는 형국이다. 김여정 부부장이 정부 대북 정책을 정면 비난한 가운데, 대통령실과 통일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을 위한 정부 방침을 강하게 재확인했다. 북한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화와 신뢰 회복 구상에 반발했으며, 한국 정부는 일관된 대북정책 의지를 과시하면서 남북 긴장 완화 방안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20일 대통령실은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와 관련해 “이재명 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들은 일방의 이익이나 누구를 의식한 행보가 아니라 남과 북 모두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뒤로 하고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반드시 열어나갈 것”이라며 대화와 협력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러한 입장은 정부 출범 이후 지속해 온 신뢰 회복 노력을 북한이 일방적으로 거부하고 있다는 현실 인식을 토대로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대통령실은 남북 대립의 장기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거듭 인내하며 손을 내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같은 날 김여정 부부장이 “한국은 우리 국가의 외교 상대가 될 수 없다”며 이재명 대통령을 실명 비난했다고 보도했다. 김 부부장은 “‘보수’의 간판을 달든, ‘민주’의 감투를 쓰든 우리 공화국에 대한 한국의 대결 야망은 추호도 변함이 없이 대물림돼 왔다”며, “이러한 력사의 흐름을 바꾸어놓을 위인이 아니다”라고 직격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도 정부 차원의 입장을 내놨다. 통일부는 “남과 북 주민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서 남북이 서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북한이 이재명 대통령을 직접 겨냥한 것에 대한 우회적 지적으로 풀이된다. 또한 통일부는 “대북·통일정책의 기본방향은 지난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미 밝힌 바 있으며, 앞으로 이를 이행하기 위해 일관되게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원칙 유지 방침을 부각했다.
정부가 여야 대북정책의 실효성 논란과 북한의 연이은 강경 메시지에 직면한 상황에서 평화정착 노선을 고수하겠다는 뜻을 거듭 천명한 만큼, 당분간 남북관계는 대화와 긴장 고조가 교차하는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북한의 추가 반응을 주시하는 한편, 남북 간 대화 재개 가능성도 지속적으로 모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