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서 현금성 투자 신중해야”…국민 과반, ‘우리 경제 사정상 부적절’ 응답
한미 관세협상을 둘러싼 정부의 대응 기조를 놓고 국민 여론이 현금성 직접투자에 신중한 입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NBS 전국지표조사가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는 “우리 경제 사정상 미국의 요구에 따라 현금성 직접투자를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반면 “미국의 요구에 맞춰 현금성 직접투자를 하더라도 관세율 인하를 추진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은 29%에 그쳤다. 양측 의견 격차는 26%포인트로 드러나 신중론이 우세한 장면을 연출했다.
특히 40~60대 연령층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서 현금성 직접투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비교적 높았다. 이는 관세율 인하 같은 단기적 효과보다는 우리 경제 현실을 우선 살피고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여론이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국정 전반에서 신중함을 중시하는 기조가 확산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정치권에서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각자 해석하며 정부 통상정책의 미래 방향을 놓고 의견 대립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일각에서는 “단기 실익에 치중해선 국민적 신뢰를 얻기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며, “통상에서 실용적 선택도 필요하다”는 상반된 시각도 제기됐다. 전문가들 또한 “국내 경제 여건과 산업 경쟁력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으며, 한미 교섭에서 속도보다는 원칙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같은 여론은 향후 정부의 미국 통상 교섭 전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촘촘해진 국민 여론의 눈높이 속에서 정부는 관세협상 접근법을 한층 세밀하게 조율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역시 여야를 막론하고 통상정책을 둘러싼 논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편 이번 전국지표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 4개 기관이 공동 수행했으며 응답률은 15.6%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정부는 여론 흐름을 면밀히 분석해 향후 관세협상 및 투자 조건에 관한 정책 결정에 반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