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 게이트 핵심 기업 줄소환”…김건희 특별검사팀, 대통령기록관까지 압수수색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집사 게이트’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정치권의 충돌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대통령기록관, 주요 대기업, 그리고 삼부토건 등지에 대한 줄소환과 압수수색이 이어지는 가운데, 권력 핵심을 향한 특검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오정희 특검보는 7월 14일 정례 브리핑에서 “사건의 실체를 신속히 규명하고 증거 인멸을 방지하기 위해, 사모펀드에 184억원을 투자한 주요 기관 및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에 대해 이 주부터 소환 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공식 밝혔다. 1차 소환 통보 대상에는 한국증권금융, HS효성, 카카오모빌리티, 키움증권이 포함됐다. 오 특검보는 “소환 대상자들은 사건의 실체 규명을 위한 법적 절차에 성실히 협조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이른바 ‘집사 게이트’는 김모 씨가 렌터카 업체 IMS의 부실을 숨기고, 김건희 여사와의 연관성을 활용해 2023년 카카오모빌리티 등으로부터 180억원 상당의 투자를 유치한 의혹에서 출발했다. 이 투자 중 46억원이 차명 가능성이 제기된 이노베스트코리아의 IMS 주식 매입에 흘러들어가면서, 특검 측은 실질자금 흐름과 김건희 여사측 연계 여부를 중심으로 수사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이와 함께 특검팀은 김건희 여사, 이른바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등이 연루된 총선 공천개입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에 나섰다. 오정희 특검보는 “22대 총선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김 여사가 자신과 친분이 있는 김상민 전 검사를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출마시키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혐의가 핵심이다. 특검은 8일 김영선 전 의원과 김 전 검사 자택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이번 주 두 사람의 소환조사도 준비 중이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을 둘러싼 강제수사도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됐다. 특검팀은 7월 3일 삼부토건 본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 이후, 이응근 전 대표, 오일록 대표, 정창래 전 대표, 조성옥 전 회장, 이일준 회장 등 핵심 피의자를 잇따라 조사해 이날 중 구속영장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양평고속도로 노선변경 특혜 의혹' 관련 수사도 병행 중이다. 이날 오전에는 세종시 국토교통부 장관실, 한국도로공사, 동해종합기술공사, 경동엔지니어링 등 총 10여 곳 사무실에 대한 대대적인 압수수색도 이어졌다.
정치권의 반발과 영향 분석도 거세다. 국민의힘 측은 “정치공작성 수사로 국정 혼란만 부추긴다”고 강하게 반발했고, 더불어민주당은 “현 정권의 권력형 비리를 밝혀야 한다”며 특검을 강력 지지했다. 시민사회 일각에선 “투명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검팀은 “압수물 분석과 함께 빠른 시일 내 관련자 소환 조사도 병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은 집사게이트, 공천개입, 주가조작 의혹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는 가운데, 이번 특검 수사의 결과에 따라 향후 정국이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