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정보관리원 화재에 전방위 지원”…정청래, 야당에 초당적 협조 촉구
국가 주요 업무 시스템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사실상 멈춰 섰다. 이 여파로 더불어민주당과 여당의 협력 요청이 이어지며 정치권이 사고수습 방안을 두고 신속 대응에 나섰다. 여야 간 초당적 협조의 필요성이 거론되면서 사태의 파장이 확산됐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27일 당 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위한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정청래 대표는 페이스북에도 글을 올려 “사무총장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간사에게 정부가 만전의 대책을 세우도록 당 차원의 지원대책을 긴밀히 협의하라고 지시했다”며 “조속히 정상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같은 날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민주당은 정부와 함께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사고 수습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화재 사고의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의 조속한 수습과 대책 마련 동참 촉구도 이어졌다.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당의 초당적 협력을 요청드리며, 화재 사고 수습과 국가 정보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조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현장인 대전을 찾아 정부 클라우드 운영시스템 점검에 나섰다.
정부의 시스템 이중화 미흡 문제는 지난해 카카오 데이터센터 마비 사태를 상기시키면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 운영시스템 이중화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필요시 추가 예산 지원까지 검토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를 중심으로 후속 입법 논의도 추진될 전망이다. 행안위 소속 채현일 의원은 “정보통신망 침해사고를 사회재난에 포함하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며 제도 보완을 예고했다.
사고 수습을 둘러싼 정치권의 협력 여부와 향후 입법 논의가 정국 변수로 부상한 가운데, 국회는 이 사안을 중심으로 치열한 공방과 실질대책 수립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