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한령 해제 기대감”…한국 콘텐츠, 중국 진출 청신호에 업계 주목
IT/바이오

“한한령 해제 기대감”…한국 콘텐츠, 중국 진출 청신호에 업계 주목

정유나 기자
입력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 완화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K콘텐츠 기업들이 중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지 규제와 판호 문제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최근 한·중 관계 개선 움직임이 산업 전체의 판을 바꿀 변수로 꼽힌다. 업계는 올해를 중국 협력사업의 전환점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콘텐츠 소개와 신규 사업 모델을 타진 중이다.

 

2일부터 4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린 ‘2025 코리아콘텐츠위크’ 현장에는 국내 콘텐츠 기업 25곳이 참가해 중국 기업 앞에서 자사 IP 라인업과 신사업 구상을 선보였다. 애니메이션·만화·캐릭터·게임은 물론, BTS·블랙핑크 등 K팝 IP 기반 게임 제작사도 다수 포함됐다. 현지 대형 플랫폼인 망고TV, 텐센트 등 주요 기업도 전략적 파트너십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 국산 애니메이션 ‘안녕 자두야’로 최근 동남아 시장에서 성과를 낸 아툰즈(Atoonz) 역시 베이징 무대에 다시 섰다. 아툰즈는 지난해에도 참가 의사를 밝혔으나, 한한령과 판호(중국 내 콘텐츠 유통 허가) 문제로 본격 진출이 무산된 바 있다. 하지만 올해는 한·중 완화 흐름과 맞물려 공동제작·조인트벤처(JV) 등 다양한 협력 시나리오를 논의하며 시장 재진입을 노린다. 이진희 아툰즈 대표는 “한국 정서가 강한 작품이지만,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서 협력의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아이돌 IP 게임 ‘BTS월드’ 등으로 글로벌에서 성과를 쌓아온 테이크원컴퍼니 또한 올해 베이징 행사에 첫 출전했다. 판호 미취득으로 현지 서비스에 제한이 있지만, 팝업스토어나 IP 라이선스 협력, 현지화 공동개발 등 다각도의 진출 모델을 적극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정민채 대표는 “중국은 세계 최대 음악·게임 시장”이라며, “IP 협력과 투자 등 현지 파트너와의 융합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콘텐츠 산업의 한중 협력 확대는 문화 IP 사업구조 변화와 맞닿아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김영재 한국애니메이션학회장과 리쟈산 중국 국가문화발전국제전략연구원 부원장이 콘텐츠 공동개발, 디지털 시대 IP 비즈니스 전략 등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데이터·문화 규제, 신기술 적용 등 복합 이슈를 실무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중국 현지에서는 한한령 해제 명확화 여부, 판호 발급 정책 등이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교류의 물꼬가 트였다는 점에 산업계 상당한 기대가 모이고 있다. 이미 미국·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서는 K콘텐츠의 IP·플랫폼 기반 협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한국 기업은 한중 공동제작을 통한 시장 확대와 신기술 기반 사업모델 전환을 고민 중이다.

 

업계에서는 한중 문화교류의 재개가 곧 K콘텐츠 수출 확대와 아시아 문화 플랫폼 경쟁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김기헌 콘진원 북경비즈니스센터장은 “콘텐츠 교류는 미래 협력의 디딤돌”이라며, “양국 기업 간 새로운 협력 프로젝트와 사업 기회 창출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남은 규제 장벽과 정책 변동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실제 현지 시장정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툰즈#테이크원컴퍼니#한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