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건진법사 전성배 구속 하루 만에 소환”…김건희 여사·통일교 의혹 정국 격랑
특검과 정치권이 다시 충돌 지점에 섰다. 김건희 여사와 통일교 연루 의혹을 둘러싸고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구속된 전성배씨를 전격 소환하면서, 여야 대립과 정국의 혼돈이 재점화되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22일 오후 2시,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서울소재 특검 사무실로 소환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전씨에 대해 전날 증거 인멸 우려를 이유로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가 이를 받아들여 영장이 발부됐다. 전씨는 "구속을 받아들이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앞선 피의자 심문에 불참했다.

전성배씨를 둘러싼 수사 초점은 통일교 측으로부터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하라는 명목으로 다이아몬드 목걸이, 샤넬백 등 고가 선물과 함께 교단의 각종 현안 청탁을 받은 정황에 맞춰져 있다. 특검팀은 전씨가 2022년 4월부터 8월 사이, 캄보디아 메콩강 개발 지원, YTN 인수, 유엔 제5사무국 한국 유치, 대통령 취임식 초청 등 구체적 사안과 맞물린 청탁 대상과 실질적 로비 흐름을 집중 추궁하고 있다.
또한 2022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씨가 여러 유력 인사들로부터 '기도비' 명목으로 자금을 받고,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들에게 공천 관련 청탁을 연결해준 혐의도 핵심 수사 대상이다. 더 나아가 2023년 3월 국민의힘 전당대회 직전, 권성동 의원을 당 대표로 추대하기 위해 통일교 신도들을 당원으로 대거 가입시키려 한 시도 역시 이번 특검 수사의 주요 쟁점으로 부각됐다.
정치권 안팎에선 특검 수사가 김건희 여사와 집권 여당 주요 인물을 향해 확장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당 내부 일각에선 "정치적 선동"이라는 반발과 함께 방어 논리가 이어지고 있으나, 야권은 "정권 심장부의 치부가 드러났다"며 특검팀의 수사 확대를 촉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검이 실제 선물 전달 및 청탁 경로의 실체를 밝혀낼 경우, 대선 이후 최대 정치 스캔들로 비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한다.
한편 특검팀은 향후 김건희 여사 소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정치권은 전성배씨 소환이 여권 핵심 인물에 대한 수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 특검팀의 행보에 따라, 전국 정치 지형과 여야 대립 구도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