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정보보호 역량 총동원”…배경훈, 네이버·카카오에 경영 책임론 강조
플랫폼 기업의 정보보호 역량 강화가 IT·바이오 산업의 신뢰성과 지속가능성 확보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일 네이버, 카카오, 쿠팡, 우아한형제들 등 국내 주요 온라인 플랫폼 기업 경영진과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를 소집해 보안 점검과 내부 역량 강화를 재차 주문했다. 최근 대형 IT서비스에서 연이어 발생한 보안 침해사고로 인해 국민 불안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신뢰도 저하가 산업 전반에 우려를 더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논의가 '정보보호 경쟁'의 새로운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배경훈 부총리는 “최신 사이버 침해사고는 단순 장애를 넘어 국민 경제 및 국가 신뢰 기반에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서비스 안정성과 핵심 정보자산 보호, 그리고 경영진의 직접적인 현안 점검과 투자 확대를 당부했다. 실제로 최근 플랫폼사는 고도화된 공격기법에 대비해 데이터 암호화, 이상징후 실시간 감지 알고리즘 등 기술적 대책을 도입하고 있으나, 기존 보안 체계만으로는 침해 위험을 완전히 통제하기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이번 강화 촉구는 실질적 보안투자와 경영층 책임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플랫폼 산업은 국민 대다수의 일상과 경제활동이 연결된 만큼, 다층적 보안 체계와 신속한 복구 역량, 법제도 준수 여부가 산업 신뢰도의 결정적 기준이 되고 있다. 현재 식별정보·결제데이터·거래기록 등 대용량 민감정보를 처리하는 대형 플랫폼 기업의 경우, 정보보호법·개인정보보호법 등 국내외 규제 기준도 한층 엄격하다. 미국·유럽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도 AI 기반 보안기술 및 최고경영자의 책임 강화, 이해관계자 사전 통지 의무 등 정보보호를 기업 경영 핵심축으로 인정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효성 있는 보안 대책은 경영진 의지와 조직문화, 기술 혁신이 삼위일체가 돼야 가능하다”고 지적한다. 향후 정부와 산업계 협력, 인증 체계 고도화, 투자 확대 여부가 플랫폼 신뢰 회복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IT업계는 정보보호가 서비스 품질과 동등한 사업 경쟁력임을 재인식해야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정부의 주문이 선언적 당부를 넘어, 플랫폼 정보보호의 실질적 변화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기술-윤리, 기업-제도 간 균형이 신뢰 중심의 성장 조건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