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6,889억 원”…LG전자, 관세 부담 속 전장 사업 호조
LG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6,889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를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LG전자 발표에 따르면, 관세 부담 확대 등 대외 환경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생활가전과 전장 사업 부문이 실적을 견인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시장 전망치(6,051억 원)보다 13.9% 높은 수치다.
3분기 매출은 21조 8,75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역대 3분기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매출 규모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줄었으나, 생활가전 사업의 프리미엄 시장 지배력과 전장 사업의 사상 최대 수익성이 하락 폭을 줄이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관세 부담 본격화와 글로벌 수요 회복 지연에도 LG전자는 가전 부문에서 프리미엄 시장뿐 아니라 대량소비 시장 ‘볼륨존’에서도 안정적인 성과를 유지했다. 회사 측은 생산지 운영 및 자원 투입 최적화 등을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고 구독 사업을 확대한 점이 실적 유지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희망퇴직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고, TV 판매 경쟁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가 수익성에 부담을 줬다. LG전자는 앞으로 ‘webOS’ 플랫폼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사우스 시장에 대한 공략을 통해 수익구조 다변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전장 사업에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로 역대 최대 분기 수익성을 기록할 전망이다. 전기차 구동 부품과 램프 사업도 높은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냉난방공조 부문은 상업용 및 산업·발전용 시스템을 중심으로 미래 사업 기반을 강화하고, 데이터센터용 액체냉각 솔루션 상용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전장 등 B2B, 가전 구독, 비하드웨어·온라인 사업 강화 등 질적 성장 전략과 사업 펀더멘털 유지를 병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자금 조달도 예고했다. 이를 통해 사업 구조 개편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한층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이달 말 연결 기준 순이익을 포함한 3분기 확정 실적과 사업 본부별 세부 경영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향후 글로벌 경기와 관세 이슈, 사업 구조 혁신이 실적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