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장관 후보자 의혹 놓고 격돌”…국회 인사청문 슈퍼위크 갈등 확산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둘러싼 여야의 충돌이 거세지고 있다. 7월 17일 국회에서는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를 대상으로 나흘째 인사청문회가 열리며,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검증 공방이 정점에 달할 전망이다.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가 각각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를 진행한다. 청문회 현장에서는 장관 후보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 관련 의혹, 겸직 및 보수 수령 논란 등 각종 쟁점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의힘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무자격 5적'으로 규정하며 강한 공격을 예고했다. 특히 조 후보자의 배우자가 제기된 땅 투기 의혹과 아들의 갭투자 의혹 등 가족 관련 논란을 집중적으로 부각했다. 국민의힘 측 관계자는 “국민 눈높이에 턱없이 부족한 도덕성 논란”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지금까지 제기된 조현 후보자 관련 의혹 중 결정적 문제는 보이지 않는다”며 후보자 해명에 힘을 싣는 전략을 내비쳤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적법성·도덕성을 면밀히 따지되, 정쟁성 의혹 제기를 경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에게는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대학교와 방송통신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경북문화재단, 대한체육회 등 여러 기관에서 약 2억6천만원의 보수를 수령한 '겹치기 보수 수령' 의혹이 쟁점으로 부상했다. 국민의힘은 “명백한 부적절 복수직 보수”라고 공세에 나섰고, 더불어민주당은 “근거와 경위부터 면밀히 따지겠다”고 맞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인 김정관 전 두산경영연구원 대표에게도 2022년 퇴직 후 3년에 걸쳐 받은 2억8천여만원 상여금 수령 내역을 둘러싼 의혹이 제기된다. 야권 중심으로 '퇴직 이후 고액 상여금'의 적정성 문제가 제기될 전망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연이은 장관 후보자 청문회 공방이 이른바 ‘슈퍼위크’를 맞아 정국 전반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청문회 결과가 정당별 책임론, 향후 내각 구성 구도에 미칠 파장에도 주목이 쏠린다.
국회는 인사청문 현장에서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며 각 후보자의 자질·도덕성 검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향후 인사청문보고서가 어떻게 채택될지, 내각 구성이 순조롭게 진행될지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