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수출품에 50% 관세”…미국(USA), 보호무역 강화로 양국 갈등 심화
현지시각 18일, 브라질(Brazil) 상파울루에서 페르난두 아다지 재무장관이 발표를 통해 미국(USA)의 50% 관세 부과 조치로 양국 관계가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의 쿠데타 모의 혐의 재판에 대한 미국 행정부 측 입장과 연동된 것으로 국제무역 질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행정명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낸 공식 서한에서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에 대한 재판을 '마녀사냥'으로 규정하며 자국 내 보호 정책 강화를 시사했고, 8월 1일부터 브라질산 수출품에 50%의 고율 관세를 적용한다고 통보했다. 곧이어 해당 내용을 명문화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함으로써 관세 부과 정책의 실행력을 높였다.

이에 대해 룰라 브라질 대통령은 외부의 간섭과 일방적 보호주의 조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단호한 성명을 발표했다. 페르난두 아다지 재무장관은 상파울루 현지 콘퍼런스에서 "미국은 헌법적으로 불가능한 요구를 브라질 측에 하고 있고, 양국 관계는 현실적으로 충족할 수 없는 조건에서 교착 상태에 놓였다"며 미국의 결단이 해결의 열쇠라고 말했다.
미국의 보호무역 노선 강화가 경제를 넘어 외교 분야까지 영향을 확대하면서 브라질은 EU(유럽연합)-메르코수르(Mercosur) 자유무역협정(FTA) 연내 발효에 새로운 돌파구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지난해 말 25년 만에 협상을 마무리한 이 협정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4개국과 유럽 27개국이 참가하지만, 프랑스(France) 등 일부 회원국은 농축산업 보호를 이유로 비준을 거부하며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현지 농업계는 "불공정 경쟁으로 인한 국내 피해"를 근거로 강하게 반발 중이다.
아다지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연내 EU-메르코수르 FTA 발효 전망을 긍정적으로 언급하며, 브라질 정부가 다각적 무역 정책을 통해 미국과의 교착 상황을 타개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브라질의 관세 분쟁에 대해 뉴욕타임스와 BBC 등 주요 외신도 "양국 무역 실타래가 장기 교착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브라질-유럽 연계 전략 구상이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는 신호라고 분석하며, 이번 관세 조치가 중남미와 유럽 무역 관계뿐만 아니라 국제 질서의 균열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고 진단한다. 국제사회는 미국의 추가 조치 여부와 브라질의 외교적 대응, 그리고 유럽협정의 성사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