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9시 적극 진술”…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특검 소환 요구 수용
윤석열 전 대통령과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 간 소환 일정 조율이 줄다리기 끝에 윤 전 대통령의 출석 수용으로 일단락됐다. 내란 특검이 기일 연기 요청을 거듭 거부하자 윤 전 대통령 측이 한발 물러서며 정면 대치 국면에서 일단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2일 "특검 출석 요구에 응할 예정"이라며 "정각 9시에 도착하긴 어렵겠지만 10분에서 20분 정도 늦더라도 반드시 출석해 진술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불출석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며, 출석을 회피하는 입장이 아니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조사를 받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은 당초 특검이 지정한 7월 5일 오전 9시 출석 일정에 대해 1시간가량 늦추기를 요청했으나,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미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1차 대면조사 이후 남은 사항을 확인한다는 명목으로 다시 출석 통지를 받았다. 이후에도 윤 전 대통령 측은 기일 변경을 요청했지만, 특검팀이 한 차례 조정을 받아들여 7월 1일 오전 9시를 제안했으나 끝내 조사가 무산됐다.
특검은 두 번째 불출석 상황이 연출되자 "한 차례 조사에 불응한 것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며 오는 7월 5일 오전 9시 재등장을 요청, 윤 전 대통령 측에 최종적으로 출석 통보를 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이후에도 출석 일자를 7월 5일 이후로 재차 연기 요청했으나, 추가 조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이번 출석 수용이 특검의 강경 기조와 법적 공방 국면 해소 차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야권 일각에서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엄정한 태도가 오히려 피의자 측의 시간끌기 논란이나, 여론 재판 우려로 확산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내란 특검은 이번 조사에서 이전 대면조사와 달리 남은 쟁점 사항에 대한 윤 전 대통령의 구체적 진술을 요구할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이 향후 추가 진술이나 일정 조율을 요구할 경우 재차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치권은 이번 소환 조사 일정 시행이 특검과 윤석열 전 대통령 양측 모두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출석 이후 조사 상황을 토대로 후속 수사 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