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반일몰이로 자초된 분열 반성해야”…국민의힘, 국익 우선 협력 시사
한일 정상회담을 둘러싼 정치권의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 국민의힘이 23일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첫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비판과 신중한 협력 의사를 동시에 밝혔다. 한일 관계와 관련된 이념 대립, 실질적 국익 논리를 둘러싸고 여야 간 논쟁이 거세질 전망이다.
국민의힘 최은석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반일 정서 몰이로 국가적 갈등과 분열을 자초했던 데 대한 충분한 반성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념 갈등 조장이 아닌 진정한 국익을 위한 조치라면 여야를 떠나 국민의힘도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입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정상회담 직후 “한일 관계가 정상 궤도에 올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한 것에 대한 논평으로, 최 수석대변인은 “이 대통령만의 평가”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어 “손바닥 뒤집듯 두어마디 말과 표정만 바꾼다고 냉정한 국제 정세에서의 평가가 쉽사리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일 정상회담이 국내외 현실 인식 차이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국민의힘은 한일 셔틀 외교 재개, 경제협력 강화 등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첫 정상회담 국가로 일본을 선택했고, 본격적인 셔틀 외교의 시작을 알렸다”며 “양국 간 폭넓은 교류를 약속한 것도 의미 있게 본다”고 말했다. 또한 “대미 관세협정에서 유의미한 한일 경제협력 논의가 있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동아시아 리더 국가이자 미래 동반자로서 양국이 긴밀한 안보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한일 관계를 둘러싼 민심과 외교 관점, 그리고 과거사 인식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전국적 논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동시에 국민의힘의 비판적 협력 시사가 국회 차원의 여야 협치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국회는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된 후속 외교조치와 경제협력 의제, 역사 문제 대응 방안 등을 놓고 다음 회기에서 본격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