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가 일상 도구로”…배경훈, 민관 연계 디지털 행정 가속 전망
IT/바이오

“AI가 일상 도구로”…배경훈, 민관 연계 디지털 행정 가속 전망

문수빈 기자
입력

AI와 디지털 인프라 강화가 대한민국 행정 혁신의 중심에 선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취임 후 처음으로 제시한 방향은 일하는 문화부터 기술 적용, 데이터·플랫폼 전략까지 기존 정부 조직과는 결이 다른 민간형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있다. 이날 배 장관은 프레젠테이션 형태의 취임사와 타운홀미팅, 그리고 실시간 온라인 소통 등 기업 리더십 경험을 행정에 적용함으로써 ‘수평 소통’과 ‘디지털 워크플로우’ 도입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업계에서는 “공공부문 AI혁신 선언이 실질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경쟁적 AI 행정 혁신의 방아쇠로 받아들이고 있다.

 

배 장관은 AI, 즉 인공지능 기술의 실전 투입을 과기정통부 업무의 핵심으로 제안했다. “AI가 더 이상 먼 기술이 아니라, 핸드폰처럼 쉽게 일상적으로 쓰여야 한다”며 “부처가 보안부터 먼저 점검하는 한편, AI 확산 주도권을 잡겠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회의 문화, 전국적 협업 체계, 현장과 빠르게 의견을 교환하는 디지털 환경을 필수로 꼽으며 민관 경계를 허무는 접근법을 내세웠다.

행정 혁신의 키워드는 ‘파운데이션 모델’ 국산화에 있다. 배 장관은 “외국 솔루션을 단순 도입하는 수준을 넘어서야 하며, 한국형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글로벌 톱 수준으로 개발해 국민과 기업 모두 쓰게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를 위해 데이터 수집, 고품질 데이터셋 생산, 스타트업-대기업-학계 컨소시엄 체계 구축 등 세부 계획도 언급했다. 그는 “데이터 품질과 컴퓨팅 인프라까지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며, 목표 달성 시 오픈소스 모델로 전국민 확산에도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의 AI 전략이 전방위로 확대되는 가운데, 아마존·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사례와 국내외 민간 주도형 AI 개발 경쟁은 이미 가속화되고 있다. 실제로 영국 NHS, 미국 정부 등도 공공 데이터와 AI, 오픈소스 모델의 조합을 강조하며 국가 디지털 리더십 각축을 벌인다. 전문가들은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이 실전 현장에서 안착하면 생산성, 공공서비스, 산업 디지털화 전반에 일대 혁신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한편, 데이터 활용 관련 윤리·규제·보안 문제도 과제로 남는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AI 주무부처로서 개인정보, 데이터 품질, 개방 범위 등에 대한 정책 방향을 예고했다. 향후 정책, 기술, 산업 구조 혁신이 어느 속도까지 실현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산업계는 이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중심 디지털 행정 혁신이 실제 공공서비스와 민간 산업 전반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배경훈#ai#파운데이션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