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폴드가 플립 제쳤다”…삼성, 갤럭시Z7 사전예약 흥행 돌풍
IT/바이오

“폴드가 플립 제쳤다”…삼성, 갤럭시Z7 사전예약 흥행 돌풍

송우진 기자
입력

폴더블폰 기술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삼성전자가 선보인 갤럭시 Z 폴드7·플립7의 사전예약 반응이 전작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시장내 경쟁 구도가 새롭게 형성되는 모양새다. 업계는 폴드7 선호 현상이 폴더블폰 고급화 전략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15일부터 시작된 갤럭시 Z 폴드7·플립7 사전판매에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등 주요 이통사가 폴드 모델의 인기 상승을 체감 중이다. SK텔레콤에서 폴드7의 점유율은 약 60%에 달해, 종전 플립 중심 수요를 역전했다. 기존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플립 모델이 사전예약에서 더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이번에는 폴드7이 시장 기대를 주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가 이번 모델에 도입한 신형 폴더블 패널, 힌지 내구성 개선 등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는 폴드 제품군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했다. 특히 제트블랙, 블루셰도우 등 새로운 색상 역시 소비자 선호를 이끌어낸 주요 변수로 꼽힌다. 실제로 이통3사와 삼성닷컴 등 다양한 채널에서 색상 선택지가 고르게 분배되는 양상이다. 삼성 강남 등 오프라인 전시 매장에서는 폴드7과 플립7의 전용 색상인 민트에 대한 관심도 높다.

 

가격 정책도 변화의 한 축이다. 이통3사가 책정한 공시지원금은 최대 50만원으로, 올해 상반기 갤럭시 S25 시리즈 지원금의 두배에 근접한다. 추가지원금까지 포함해 최대 57만5천원의 혜택이 제공된다. 폴드7 가격은 256GB 기준 237만9300원, 512GB 253만7700원으로 직전 모델 대비 소폭 인상됐으며, 플립7은 전작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폴더블 시장의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폴더블 상품군의 핵심 하드웨어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를 앞세워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나, 화웨이, 오포 등 중국 제조사 또한 얇고 견고한 신규 모델로 맞불을 놓는 상황이다. 시장분석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4년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이 전년 대비 약 30% 성장해 3,000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시지원금, 소비자 보호, 단통법 개정 등 정책 이슈도 폴더블폰 시장 확대의 변수다. 실제로 삼성전자 DX부문 노태문 사장은 미국 현지 언팩 행사에서 “각 파트너사도 긍정적 반응을 내고 있다”며 “판매량이 전년보다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폴더블폰이 대중화되려면 가격경쟁력과 내구성, 실사용 에코시스템이 동시에 개선돼야 한다”며 “특히 폴드 제품군이 확실한 프리미엄 이미지를 굳히면서 차세대 스마트폰 시장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지적했다. 

 

산업계는 신규 폴더블 시리즈가 실제 시장 수요로 연결될지, 그리고 프리미엄 폴더블폰 중심의 산업구조 재편이 가속화될지에 주시하고 있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갤럭시z7#폴드7